딥인사이트

2024.11.22 FRI
아주칼럼
  • [김호균 칼럼] 尹정부 '지방시대' …말 따로 행동 따로

    “지역이 각각 경쟁력을 갖고 잘살면 저출생 문제도 자연스럽게 개선될 수 있다.” 지난 7월 말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이다. 이 맥락에서 윤 대통령은 저출생·고령화와 수도권 집중, 지역 소멸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전했다. 작년 9월 부산에서 개최된 ‘지방시대 선포식’에서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선포하면서 펼쳤던 “지역의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이다”는 선언과 같은 맥락이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교육이 지역 발전의 핵심이라고 재

  • [전문가 기고] 기업·정부, 손발 맞춰 '흑연 공급망' 확보 잰걸음

    미·중 갈등 구조가 향후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미국은 첨단 전략기술에 대한 수출통제를 강화해 중국의 기술 추격을 지연시키는 전략을 추구하고 중국은 흑연 등 첨단 기술 핵심 소재에 대한 공급망 통제를 무기로 대응하고 있다. 흑연은 유연한 구조 덕분에 연필 등으로 사용됐지만 최근에는 이차전지 음극재 소재로 쓰이며 그 산업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지난해 전체 흑연 생산량 중 절반이 음극재에 사용됐으나 2030년에는 70% 이상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글로벌 흑연

  • [서진교 칼럼] 박빙 미국 대선 …앞으로 한달 반 '경합주' 표심에 주목해야

    최근 미국의 대선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불과 한 달 전만 해도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이 유력해 보였다. 그러던 것이 이제는 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된 해리스 부통령의 여론조사 우세가 보도되고 있다. 그러고 보니 전당대회의 총격 사건이나 대선 후보의 교체 등 과거 미국 대선 과정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사건도 일어났다. 이래저래 올해 미국 대선은 세간의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는 상황인 듯싶다. 과연 트럼프 후보와 해리스 후보 가운데 누가 미국의 차기 대통령이 될까? 미국 대선은 두 가지 특징을

  • [이백순 칼럼] '한.미동맹'은 오직 한국 방위를 위한 것은 아니디

    이승만 대통령이 반공포로 석방 등 온갖 묘수를 동원하고 미국을 압박하여 얻어낸 ‘한·미 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된 지 70년이 더 지났다. 미국은 이 조약을 처음에는 거부하다가 이 대통령의 끈질긴 강공책에 마지못해 서명하였다. 이 조약으로 인해 한·미 양국은 피로 맺어진 동맹이 되었고 이 동맹은 역사상 가장 수명이 긴 조약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이 조약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 정세가 지난 70년간 안정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동아시아가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등장하는 데 크게

  • [전문가기고] 전기차 공포증, 포비아를 벗어나는 방법은

    인천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로 피해가 발생하면서 이른바 '전기차 포비아'가 나타나고 있다. 전국적으로 전기차를 거부하거나 전기차 테러로 의심할 만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상황은 심각하게 인식되고 있다. 주요 거점의 주거지에서는 지하주차장에 전기차 진입을 막거나 충전기 사용을 금지하고 있고 공공시설에서도 금지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환자가 병원에 갔다가 전기차 주차를 못하게 해 진료를 못 받은 사례도 있다. 한국은 도심지의 약 70% 이상이 아파트 같은 집단거주지여서 지하로 내려가 주차를 하고 충전

  • [이학노 칼럼] 잠 못 드는 열대야 …'블랙아웃' 위험신호

    프랑스 영화 ‘태양은 가득히(Plein Soleil)’의 주연인 알랭 들롱(Alain Delon)이 세상을 떠났다. 태양이 떠 있는 바닷가에서 유유자적하던 그의 마지막 모습이 영화의 압권이었다. 새삼 오래전 스타였던 프랑스 배우를 들먹이는 이유는 바로 태양이다.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 두 개가 겹쳐 만들어진 이중이불로 서울의 열대야가 우리나라 기후관측사상 최장인 30일을 넘어섰다. 게다가 태풍 ‘종다리’의 영향으로 열대야는 더 길어졌다. 이상 고온 때문일까. 전기차 배터리 폭발사고가 잇달

  • [전문가 기고] "암호화폐"란 질문, 디지털자산 세상이 온다

    ABB(AI·Blockchain·Big Data, 인공지능·블록체인·빅데이터) 기술이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것에 대해서는 누구도 부정하지 않을 것이다. 이미 1990년대 인터넷 혁명시대 초기부터, 미래 인터넷 세상의 중심은 '데이터'가 되리라는 것을 예측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러나 적지 않은 미래 예측 전문가들이 인터넷 세상에서 데이터 중요성을 인지했으며, 앨빈 토플러는 미래의 새로운 가속적 부 창출은 데이터·정보·지식 교환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 [박승찬 칼럼] 한중수교 32주년… 관계회복의 전환점 되길

    한·중 수교 32주년을 맞이해 시장조사차 베이징∙톈진∙지난∙우한∙허페이 등 중국 내 많은 도시를 돌아다녔다. 현지 공무원, 학자, 기업인, 시민 등 각계각층의 인사를 만나 그들의 한·중 관계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필자가 만난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여전히 한국 문화를 좋아하고, 한·중 관계의 중요성을 얘기한다. "지난 1년간 일본으로 유학을 간 중국 학생이 10명 이내인데 한국으로 유학가는 중국 학생이 800명을 넘어요. 여전히 학부모와 학생들이 한

  • [김상철 칼럼] 친일·반중 분위기 확산…중심 잡고 이익 놓치지 말아야

    국가 간의 관계가 소원해지면 국민 간의 정서도 멀어진다. 국가와 국민이 따로 놀지 않고 정확하게 같은 선상에서 움직인다. 이에 하나 더 덧붙이면 상호 경제적 이해가 일치할 때는 교류가 활발하다가도 상황이 반전되면 졸지에 좋던 분위기가 식고 만다. 중국과 일본과 같이 지척에 있는 이웃과도 이러한 관계가 예외 없이 적용된다. 특히 나이가 든 중장년층보다 청년층이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최근 동북아역사재단이 2030 세대를 대상으로 시행한 일본과 중국에 대한 호감도 조사 결

  • [아주칼럼] 인도의 첫 AI 칩 개발…한국 파운드리 비즈니스의 새로운 기회

    AI 칩 경쟁과 인도의 성공 글로벌 AI 칩 개발 경쟁이 심화되면서, 인도는 2026년 출시를 목표로 첫 번째 AI 칩을 발표했다. 이 발표는 인도가 AI 칩 산업에서 주요 플레이어들과 경쟁하고 이 빠르게 변화하는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맡기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되고 있다. 인도산 AI 칩의 시장 진입은 인도의 기술 부문에서의 성장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인도가 기존의 AI 칩 리더들과 경쟁하며 글로벌 AI 무대에서 중요한 플레이어로 떠오를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인도 스타트업 생태계가 주도하는 혁신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