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부동산부 박성대 |
하지만 입찰이 늦춰진 것과는 별개로 분명한 것은 해외수주 전략에 대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우선 브라질 고속철도사업에서 드러난 관(官)중심 사업 추진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브라질 철도사업은 철도시설관리공단 등 관 주도로 사업이 추진돼 왔다. 이 과정에서 정보공유 문제로 잡음이 일기도 했다. 사업단이 사업 특성을 철저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발주자 측이 제시하는 사업비 23조원과 조건만 믿고 추진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민간기업들은 현지 실사 등을 통해 수익성을 분석한 결과 사업비가 40조~5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고 사업 참여를 포기했다. 당초 제시된 금액에 비해 사업비가 17조원이나 늘어난 것이다.
브라질 철도사업은 사업비가 23조원을 넘으면 초과분을 민간사업자가 부담해야 하는 구조다. 특히 건설사가 참여하는 토목공사의 경우 80% 이상을 브라질 건설사가 시공해야 하는 조건도 있다. 국내 건설사들이 참여를 포기한 것은 채산성이 맞지 않는 것은 물론 여차하다간 막대한 빚을 떠안을 수 있는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브라질 고속철을 완공한 뒤 40년간 운용하면서 사업비를 회수해야 하는 업체 입장에서는 브라질 현지 금융권으로부터의 차입금 금리가 연 11.75%로 높고, 세금이 50%나 되는 것도 부담이다.
건설사들이 불참을 결정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다. 이번 사업이 단순히 한 업체만 진출하는 사업이 아님에도 해외진출이라는 당위성에만 집착하고 민간기업 입장은 고려하지 않은 결과다.
해외사업에 있어서 사업성과 리스크 관리체계 구축은 가장 중요한 요소다. 리스크 관리체계 구축을 관이 주도하다보면 민간의 입장을 경시할 공산이 커진다. 예정된 입찰이 3개월 남은 시점에서 지금이라도 민·관·학 합동체제를 통한 사업성 분석과 리스크 관리체계 구축에 전력을 다하길 바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