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관련 업계가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자 긴급 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9일 DDoS 공격에 대한 추가적인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권태신 국무총리실장 주재로 관계부처 긴급 차관회의를 개최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국정원 국가사이버안전센터에서 열린 이날 회의에서는 청와대ㆍ총리실ㆍ외교부ㆍ국방부ㆍ금융위 등 12개 기관이 참석해 DDoS 공격에 대한 범정부차원의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DDoS 공격을 막기 위해 △트래픽 분산장비 확보를 위한 예산 확충 △정보통신망법 등 관련법 정비 △자동 백신프로그램 가동시스템 구축 △개인보안 점검에 대한 홍보 강화 △민간분야 보안 강화 등을 추진키로 했다.
이와 함께 방송통신위원회도 이날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ISP) 등 사장단과 긴급회의를 열고 DDoS 공격 확산 방지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방통위는 이날 회의에서 DDoS 감염PC가 인터넷에 접속되는 경우 백신으로 감염을 치료한 후 인터넷 접속을 실행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ISP에 요청했다.
또한 방통위는 DDoS 피해가 심각해질 경우 ISP들이 자율적으로 감염PC의 인터넷 접속을 차단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정보통신망법에 근거한 ISP 이용약관에 포함된 것으로 앞으로 DDoS 공격이 확대ㆍ확산될 경우 ISP가 좀비PC의 인터넷 접속을 차단할 수 있게 됐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주요 ISP 관계자들은 DDoS 공격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백신 설치 및 치료에 대해 지상파 방송의 대국민 홍보가 적극 이뤄져야 한다는 데 입을 모았다.
최시중 위원장은 "정부의 대응이 부처별로 나눠져 있어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컨트럴 타워가 필요하다"며 "DDoS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뉴스 이외에 기타 프로그램에도 백신 설치 및 치료 등에 대한 자막을 내보내는 등 방송사들의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영민ㆍ이나연 기자 mosteve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