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1년도 전국아동보호전문기관 45곳에 접수된 아동학대 신고건수는 총 1만146건으로 전년 대비 약 10% 증가했다.
이 가운데 아동학대 의심사례는 8325건, 판정사례는 6058건이었다.
판정사례 중 방임이나 신체 학대 등 여러 형태로 학대하는 중복 학대가 43.3%(2621건)으로 가장 많았다.
방임 29.4%(1783건), 정서학대 15.0%(909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성학대는 총 226건이 발생해 전체의 3.7%를 차지했다.
가정 내 아동학대가 86.6%(5246건)에 달했으며 부모가 가해자인 사례는 83.1%(5039건)였다.
피해 아동은 부자가정, 모자가정, 미혼부·모가정 등 한부모가족에서 양육되는 경우가 44%(2666건)를 차지했다.
혼자서 아동을 키우거나 양육 부담 때문에 아동학대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이다.
어린이집 등 아동 관련 시설 안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는 2010년에 비해 19% 증가했다.
특히 어린이집 발생 사례가 2010년 100건에서 2011년 159건으로 59% 늘었다.
시설 내 학대자는 주로 여성(76.3%)이며 신체 학대(24.4%) 가장 많았다.
3세 미만인 영아 학대는 2009년 455건에서 2010년 530건, 지난해에는 708건으로 빠르게 증가했다.
학대 형태는 방임이 48.1%(454건)로 다수를 차지했다.
영아 학대자는 여성(66.7%), 20~30대 젊은층(69.7%), 부모(86.5%)인 경우가 많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매년 가정 내 아동학대가 증가하고 있다”며 “부모 교육을 강화하는 등 가정 내 부모에 의한 아동학대 예방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