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증시, 자금난 부동산기업 지원 소식에 상승…알리바바 관련주 급등
    中증시, '자금난' 부동산기업 지원 소식에 상승…알리바바 관련주 급등
    중국 정부의 부동산 시장 지원 신호로 중국 증시 주요 주가 지수 모두 상승세를 나타냈다. 중국 IT공룡 알리바바와 애플의 협력 소식도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12일 상하이종합지수는 28.33포인트(0.85%) 오른 3346.39, 선전성분지수는 151.26포인트(1.43%) 상승한 1만708.88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36.73포인트(0.95%), 39.03포인트(1.81%) 상승한 3919.86, 2191.76에 마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채무불이행 위기에 빠진 중국 대형
    • 2025-02-12
    • 17:18:04
  • [속보] 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 0.85%↑, 선전1.43%↑
    [속보] 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 0.85%↑, 선전1.43%↑
    ​​​​​12일 중국 증시는 상승세로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28.33포인트(0.85%) 오른 3346.39, 선전성분지수는 151.26포인트(1.43%) 상승한 1만708.88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36.73포인트(0.95%), 39.03포인트(1.81%) 상승한 3919.86, 2191.76에 마감했다.
    • 2025-02-12
    • 16:08:30
  • 中증시, 트럼프 관세에 하락…상하이차 4.5%↑
    中증시, 트럼프 관세에 하락…상하이차 4.5%↑
    11일 중국 증시 주요 주가 지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에 따른 무역 전쟁 우려에 모두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4.11포인트(0.12%) 하락한 3318.06, 선전성분지수는 73.62포인트(0.69%) 내린 1만557.62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17.93포인트(0.46%), 31.14포인트(1.43%) 떨어진 3883.14, 2152.73에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 2025-02-11
    • 17:12:48
  • [속보] 中증시, 하락 마감…상하이 0.12%↓ 선전 0.69%↓
    [속보] 中증시, 하락 마감…상하이 0.12%↓ 선전 0.69%↓
    11일 중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4.11포인트(0.12%) 하락한 3318.06, 선전성분지수는 73.62포인트(0.69%) 내린 1만557.62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17.93포인트(0.46%), 31.14포인트(1.43%) 떨어진 3883.14, 2152.73에 마감했다.
    • 2025-02-11
    • 16:03:35
  • 中증시, 미중 무역협상·부양책 기대에 상승...교육株 강세
    中증시, 미중 무역협상·부양책 기대에 상승...교육株 강세
    중국이 예고한 대로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를 개시한 가운데, 미중 양국이 대화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가 이어지면서 중국 증시 주요 주가 지수 모두 소폭 상승했다. 3월 양회에 대한 부양책 기대감 등도 지수를 지탱한 것으로 보인다. 10일 상하이종합지수는 18.50포인트(0.56%) 오른 3322.17, 선전성분지수는 55.24포인트(0.52%) 상승한 1만631.25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8.36포인트(0.21%), 9.53포인트(0.44%) 상승한 3901.06, 2183.88에 마감했다.
    • 2025-02-10
    • 17:06:11
  • [속보] 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 0.56%↑, 선전 0.52%↑
    [속보] 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 0.56%↑, 선전 0.52%↑
    10일 중국 증시는 상승세로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18.50포인트(0.56%) 오른 3322.17, 선전성분지수는 55.24포인트(0.52%) 상승한 1만631.25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8.36포인트(0.21%), 9.53포인트(0.44%) 상승한 3901.06, 2183.88에 마감했다.
    • 2025-02-10
    • 16:05:42
  • 中증시, 딥시크 훈풍에 상승 마감…관련주 4거래일 연속 강세
    中증시, 딥시크 훈풍에 상승 마감…관련주 4거래일 연속 강세
    미·중 관세전쟁에 대한 우려가 일단 수그러든 가운데 딥시크 훈풍이 이어지며 중국 증시 주요 주가 지수 모두 상승세를 나타냈다. 딥시크를 둘러싼 정보 유출 우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지만, 투자 심리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7일 상하이종합지수는 33.01포인트(1.01%) 오른 3303.67, 선전성분지수는 182.37포인트(1.75%) 상승한 1만576.00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49.87포인트(1.30%), 53.61포인트(2.53%) 상승한 3892.70, 2174.
    • 2025-02-07
    • 16:55:30
  • [속보] 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 1.01%↑, 선전 1.75%↑
    [속보] 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 1.01%↑, 선전 1.75%↑
    7일 중국 증시는 상승세로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33.01포인트(1.01%) 오른 3303.67, 선전성분지수는 182.37포인트(1.75%) 상승한 1만576.00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49.87포인트(1.30%), 53.61포인트(2.53%) 상승한 3892.70, 2174.35에 마감했다.
    • 2025-02-07
    • 16:04:56
  • 딥시크 열풍에 中기술주 랠리 펼치나…샤오미, 홍콩서 장중 신고가
    딥시크 열풍에 中기술주 '랠리' 펼치나…샤오미, 홍콩서 장중 신고가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술주가 랠리를 펼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내놓은 ‘가성비’ AI모델이 전 세계에 충격을 안긴 영향이다. 7일 홍콩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항셍지수는 장중 최대 2.9% 상승했다.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했다. 항셍테크 지수는 장중 2.5% 뛰었다. 1월 저점 대비로는 20% 넘게 올랐다. 블룸버그는 “딥시크의 AI 모델이 중국 기술 기업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면서 “홍콩 증시에서 거래되는 중국 기술주가 강
    • 2025-02-07
    • 15:08:32
  • 中증시,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에 상승...BYD 10%↑
    中증시,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에 상승...BYD 10%↑
    미·중 무역 전쟁이 격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낙관론에 힘이 실리면서 중국 증시 주요 지수 모두 1~2%대 상승세를 보였다. 6일 상하이종합지수는 41.17포인트(1.27%) 오른 3270.66, 선전성분지수는 229.41포인트(2.26%) 상승한 1만393.63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47.75포인트(1.26%), 57.82포인트(2.80%) 상승한 3842.83, 2120.75에 마감했다. 앞서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보편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은 즉각 보복 관세·자원 수출통제 등 맞대
    • 2025-02-06
    • 17:20:23
  • [속보] 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 1.27%↑, 선전 2.26%↑
    [속보] 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 1.27%↑, 선전 2.26%↑
    6일 중국 증시는 상승세로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41.17포인트(1.27%) 오른 3270.66, 선전성분지수는 229.41포인트(2.26%) 상승한 1만393.63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47.75포인트(1.26%), 57.82포인트(2.80%) 상승한 3842.83, 2120.75에 마감했다.
    • 2025-02-06
    • 16:05:29
  • 中증시, 무역전쟁 우려·딥시크 소화하며 혼조 마감...AI 관련주 폭등
    中증시, 무역전쟁 우려·딥시크 소화하며 혼조 마감...AI 관련주 폭등
    춘제(설) 연휴 이후 6거래일 만에 개장한 중국 증시는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였다. 미국의 대중국 관세 발효와 이에 따른 중국의 보복 조치, 딥시크 열풍 등 호악재가 엇갈리며 뚜렷한 방향성을 찾지 못한 모습이다. 5일 상하이종합지수는 21.11포인트(0.65%) 상승한 3229.49, 선전성분지수는 8.16포인트(0.08%) 하락한 1만164.22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는22.00포인트(0.58%) 내린 3795.08,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0.90포인트(0.04%) 밀린 2062.92를 기록했다. 춘제 연휴 동안 여러 이슈가
    • 2025-02-05
    • 17:32:40
  • [속보] 中증시, 혼조 마감…상하이 0.65%↓, 선전 0.08%↑
    [속보] 中증시, 혼조 마감…상하이 0.65%↓, 선전 0.08%↑
    5일 중국 증시는 혼조세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21.11포인트(0.65%) 상승한 3229.49, 선전성분지수는 8.16포인트(0.08%) 하락한 1만164.22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는22.00포인트(0.58%) 내린 3795.08,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0.90포인트(0.04%) 밀린 2062.92를 기록했다. 중국판 나스닥인 과창판에서 시총 상위 50개 기업으로 구성된 과창50지수는 2.90%(27.74) 뛴 982.83에 문을 닫았다.
    • 2025-02-05
    • 16:11:19
  • 트럼프 관세 반격에 항셍지수 2.8% 반등…연휴 마친 中 증시는?
    '트럼프 관세' 반격에 항셍지수 2.8% 반등…연휴 마친 中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강행한 대(對)중국 10% 추가 관세가 유예 없이 4일(현지시간) 자정을 기점으로 발효된 가운데 홍콩증시가 2% 넘게 반등했다. 중국이 미국의 관세 발효 직후 ‘보복 관세’ 등 맞대응 조치를 쏟아내면서 양국이 협상에 나설 것이라는 낙관론에 힘이 실린 영향이다. 이제 시장 이목은 6거래일 간의 춘제 휴장을 마친 중국 본토 증시에 쏠리고 있다. 3일 홍콩 항셍지수는 오전장에서 최대 3% 넘게 하락했지만, 중국이 트럼프 관세에 대한 보복을 발표한 직후 1.9% 급등했다. 이후 상승
    • 2025-02-04
    • 18:28:14
  • 트럼프 관세 쇼크 막은 딥시크…홍콩증시, 亞증시 급락 속 약보합 선방
    트럼프 관세 쇼크 막은 '딥시크'…홍콩증시, 亞증시 급락 속 약보합 선방
    트럼프발(發) 관세전쟁 우려로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큰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홍콩 증시는 약보합세로 선방했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열풍으로 기술주가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3일 홍콩 항셍지수는 장초반 최대 2.5% 하락했지만 점차 낙폭을 좁히면서 0.04% 하락한 2만217.26에 문을 닫았다. 춘제(설) 연휴로 지난달 28일 오후부터 휴장했던 홍콩증시는 이날 3거래일 만에 개장했다. 중국 본토 증시는 내일(4일)까지 휴장한다. ‘정보통신(IT) 공룡’ 알리바바와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
    • 2025-02-03
    • 18:07:45
페이지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