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S 2025] 삼성전자, AI 보안 더 강력해진다··· 녹스 매트릭스 적용 가전 확대
    [CES 2025] 삼성전자, AI 보안 더 강력해진다··· '녹스 매트릭스' 적용 가전 확대
    삼성전자가 7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나흘 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서 차별화된 '홈(Home) 인공지능(AI)' 기능과 가전 제품 기기간 연결 시나리오를 소개했다. 특히 '녹스 매트릭스(Knox Matrix)'를 와이파이(Wi-Fi) 기능이 탑재된 모든 가전으로 확대하는 등 보안 기능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6일 삼성전자 측에 따르면 홈 AI는 삼성전자의 독자적인 보안 솔루션 '녹스(Knox)', AI 음성 비서 '빅스비(Bixby)'
    • 2025-01-06
    • 11:00:00
  • [CES 2025] AI 기술+스마트싱스 연결 강화··· 삼성전자, 초개인화 미래 홈 제안
    [CES 2025] "AI 기술+스마트싱스 연결 강화"··· 삼성전자, 초개인화 '미래 홈' 제안
    삼성전자가 한층 더 진화하고 개인화된 홈(Home) 인공지능(AI)으로 새로운 미래를 제시한다. 7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 참석한 삼성전자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as Vegas Convention Center)에 참가 기업 중 가장 넓은 3368㎡(약 1019평) 규모로 전시관을 마련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행사에서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를 주제로 초개인화를 위한 '홈 AI'를 선보인다. 홈 AI는 삼성전자만의 차별화
    • 2025-01-06
    • 11:00:00
  • 무협 한의약, 성장잠재력 높아…수출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도움 될 것
    무협 "한의약, 성장잠재력 높아…수출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도움 될 것"
    한국무역협회(KITA)는 '글로벌 전통의약 시대, 한의약 산업 경쟁력 분석과 수출 촉진 전략'보고서 발간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전통의약 시장은 2022년 약 5186억 달러(약 763조3700억원)에서 2027년 약 7682억 달러(1130조7900억원)로 연평균 8.2%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전통의약이 의료비 절감 및 만성질환 예방에 효과적인 수단이라며 사용을 권장하고 있고 세계 주요국도 그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동인당, 운남백약그
    • 2025-01-06
    • 11:00:00
  • 지난해 수입 승용차 26만3288대 신규등록...전년비 3% 감소
    지난해 수입 승용차 26만3288대 신규등록...전년비 3% 감소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지난해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가 26만3288대로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연간 등록대수 기준으로 2023년(27만1034대)보다 2.9% 줄어든 수치다. 지난해 12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는 2만3524대로 전달(2만3784대)대비 1.1% 줄었다. 지난해 같은기간(2만7223대)과 비교하면 13.6%나 감소했다. 정윤영 KAIDA 부회장은 "지난해 수입 승용차 시장은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수요둔화와 일부 브랜드의 물량부족 등으로 2023년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연간 브랜드별 등록대
    • 2025-01-06
    • 10:30:24
  • [CES 2025] SK, AI 혁신 기술 공개...미래형 데이터센터 구축
    [CES 2025] SK, AI 혁신 기술 공개..."미래형 데이터센터 구축"
    SK그룹이 CES 2025에서 AI(인공지능) 기술 혁신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제시하며 글로벌 AI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인 CES 2025는 7일부터 10일(현지 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다. SK그룹은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센트럴 홀에서 '혁신적인 AI 기술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든다'(Innovative AI, Sustainable Tomorrow)를 주제로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C, SK엔무브 등 4개 관계사가 공동 전시관을 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 2025-01-06
    • 10:26:23
  • 티웨이항공, 인천국제공항 내 정비시설 구축... LCC업계 처음
    티웨이항공, 인천국제공항 내 정비시설 구축... LCC업계 처음
    티웨이항공이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지난달 30일 인천국제공항공사 청사에서 '인천국제공항 첨단복합항공단지 항공기 정비시설(H2) 개발사업'에 대한 실시 협약식을 진행했다고 6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정홍근 티웨이항공 대표이사,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양 기관은 협약을 통해 '항공 MRO 역량 강화 및 글로벌 MRO 허브화 기여를 위한 협력'을 함께 진행하기로 했다. 티웨이항공은 인천국제공항 내 첨단복합항공단지에 항공기 정비시설인 격납
    • 2025-01-06
    • 10:14:04
  • [CES 2025] AI 혁신 강조한 최태원...SK그룹, CES서 AI 데이터센터 사업 본격화
    [CES 2025] AI 혁신 강조한 최태원...SK그룹, CES서 AI 데이터센터 사업 본격화
    SK그룹이 오는 7일부터 10일까지(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 박람회 'CES 2025'에서 인공지능(AI) 혁신 기술이 가져올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고, 글로벌 선도 기업들과의 파트너십 강화에 나선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참관하는 가운데 진행하는 이번 행사에서 SK그룹은 정유·통신·반도체 등 그룹 3대 사업에 AI를 더함으로써 빅테크에 버금가는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전 세계에 알릴 방침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SK는 CES 기간 중 라스베이거스
    • 2025-01-06
    • 10:07:34
  • [CES 2025] LG만의 AI 기술로 누리는 일상의 편안함··· 초프리미엄 가전부터 모빌리티까지
    [CES 2025] LG만의 AI 기술로 누리는 일상의 편안함··· 초프리미엄 가전부터 모빌리티까지
    # CES 2025에 마련된 LG전자 전시관 입구에 들어서면, LED 사이니지 700여 장을 이어 붙인 가로 10.4m, 세로 5.2m 규모의 초대형 키네틱(Kinetic: 실제 움직이는 형태의 작품) LED 조형물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화려함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떠오르는 해를 연상시키는 반원 형태의 조형물과 영상은 인공지능(AI) 기술로 혁신한 LG전자의 제품과 서비스가 제안하는 고객의 새로운 일상 모습을 구현했다. 조형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들은 영상에 맞춰 앞뒤로 움직이며 관람객에게 보다 생동감 넘치는 경험을 선사
    • 2025-01-06
    • 10:00:00
  • HD한국조선해양, LNG 운반선 인도로 첫 수출 포문…올해 139척 수출 
    HD한국조선해양, LNG 운반선 인도로 첫 수출 포문…올해 139척 수출 
    HD현대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인도를 시작으로 올해 첫 수출 포문을 열었다. 6일 HD한국조선해양에 따르면 이날 인도되는 선박은 2022년 6월 아시아 선사로부터 수주한 17만4000입방미터(㎥)급 LNG운반선으로, 전남 영암에 있는 HD현대삼호에서 2년 반가량 건조된 후 선주사에 인도된다.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도 오는 7일 각각 1만6000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급과 2800TEU급 컨테이너선을 선주사에 인도할 계획이다.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
    • 2025-01-06
    • 09:54:04
  • 제주항공, 작년 상반기 정비 지연 최다...항공기 운항 시간도 급증
    제주항공, 작년 상반기 '정비' 지연 최다...항공기 운항 시간도 급증
    지난해 상반기 국내 항공사 가운데 '항공기 정비'를 사유로 제시간에 출발·도착하지 못한 항공편은 제주항공에서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항공이 항공기 가동시간을 끌어올리면서 정비가 필요한 지점도 늘어났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2024년 상반기 항공사 지연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지난해 상반기 운항한 5만2883편 가운데 536편(국내선 344편, 국제선 192편)에
    • 2025-01-06
    • 09:40:43
  • [CES 2025] KCC글라스, 디폰과 손잡고 미래 유리 청사진 선봬
    [CES 2025] KCC글라스, 디폰과 손잡고 '미래 유리' 청사진 선봬
    KCC글라스가 스마트 필름 솔루션 업체인 '디폰'과 함께 이달 7일부터 10일까지(현지 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IT(정보기술) 전시회인 ‘CES 2025’에 참가해 최신 스마트 글라스 기술인 ‘VPLC(가변 편광 액정)’를 선보인다고 6일 밝혔다. VPLC 기술은 유리에 부착하는 투명 필름에 전류를 흘려보내 전압에 따라 유리를 투명하거나 불투명하게 전환하는 위상제어 기술의 일종이다. 햇빛과 열 차단을통한 에너지 절감 효과와 함께 사생활 보호 기능을 제공해 모빌
    • 2025-01-06
    • 09:17:51
  • [CES 2025] 삼성디스플레이, 자발광 최고 해상도·주사율 QD-OLED 모니터 선봬
    [CES 2025] 삼성디스플레이, 자발광 최고 해상도·주사율 QD-OLED 모니터 선봬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7일(현지시간)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서 자발광 모니터로는 최고 해상도·주사율의 퀀텀닷(QD)-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모니터 신제품 2종을 선보인다고 6일 밝혔다. 삼성전자, 에이수스, MSI 등 글로벌 제조사들은 최근 2025년 모니터 라인업을 공개하며 해당 패널을 탑재한 신제품 출시를 예고한 바 있다. 두 제품은 상반기 중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모니터용 27형 UHD(3840x2160) 패널은 픽셀 밀도가 160PPI(인치당 픽셀 수)급으로 선명한 화질이 특
    • 2025-01-06
    • 09:16:47
  • 2025 삼성 명장 15명 선정… 삼성중공업 첫 배출
    '2025 삼성 명장' 15명 선정… 삼성중공업 첫 배출
    삼성은 △제조 △설비 △품질 △인프라 △금형 △계측 △구매 등 핵심 기술분야 전문가들을 '2025 삼성 명장'으로 선발했다고 6일 밝혔다. 올해 선정된 삼성 명장은 총 15명으로, 지난해에 이어 사상 최대 규모다. 계열사별로는 삼성전자 9명, 삼성디스플레이 2명, 삼성SDI 2명, 삼성중공업 2명이 명장으로 선정됐다. 특히 올해는 삼성중공업에서 처음으로 선박·해양 플랜트 분야 명장을 배출했다. 삼성은 2019년부터 삼성 명장 제도를 운영했으며 명장 선정 분야와 명장 제도 도입 계열사를 확대해 왔다. 초기에
    • 2025-01-06
    • 09:14:42
  • 한국앤컴퍼니, 한온시스템 최종 인수…재계 30위권 첫 진입
    한국앤컴퍼니, 한온시스템 최종 인수…재계 30위권 첫 진입
    한국앤컴퍼니그룹이 세계 2위 자동차 열관리 솔루션 기업 한온시스템 인수를 최종 완료했다. 지난 2014년 한국앤컴퍼니그룹이 한온시스템 지분 19.49%를 확보하며 투자자로 참여한 지 10여년 만이다. 이번 인수로 한국앤컴퍼니그룹은 글로벌 자산 총액을 약 27조원까지 늘리며 공정자산 기준 재계 순위 30대그룹에 첫 진입했다. 6일 한국앤컴퍼니그룹은 지난달 24일 한온시스템 유상증자로 1억4496만2552주를 취득한 데 이어 지난 3일 한앤컴퍼니가 가진 한온시스템 구주 1억2277만4000주를 매입하며 지분율을 54.77%까
    • 2025-01-06
    • 08:56:21
  • 삼성 vs LG…게이밍 모니터 시장 정면 대결
    삼성 vs LG…게이밍 모니터 시장 정면 대결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연초부터 게이밍 모니터 시장 선점을 위해 격돌한다. 2030년 시장규모가 약 25조6000억원으로 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양사는 고스펙으로 대결할 방침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오는 7일(현지시간)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게이밍 모니터 신제품을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이번 신제품에 모니터 최초로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을 탑재했다. 240㎐와 500㎐ 등 고주사율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LG전자는 이번 신제품에
    • 2025-01-06
    • 08:37:40
페이지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