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m, ppb'의 뜻 아시나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9-07-02 09:3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뉴스나 신문을 보면 '농약이 1ppm 검출됐다', '하천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이 3ppm이다'는 말을 많이 듣는데 'ppm'의 단위는 어떻게 될까.

ppm은 100만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로 예를 들어 1ppm이라고 하면 물로 가득 찬 욕조(약 300리터)에 대략 6방울(1방울=0.05ml)의 잉크를 떨어뜨린 농도와 비슷하다.

또 미량의 농도를 나타내는 'ppb'라는 단위도 있는데 1ppm의 1000분의 1이다. 예를 들면 길이 50m, 폭 20m, 높이 20m인 수영장에 1m 높이까지 넣은 물의 중량과 비슷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식품관련 기사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으나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용어'를 국민들이 모두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국내․외 관련 용어집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제공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이러한 가운데 금번에 식품관련 학회 및 산업체에 제공될 자료는 2008년 일본 식품안전위원회가 개발한 용어집으로 일본식품의 식품 안전행정체계와 식품안전기본법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과 함께 잔류농약 등 화학물질용어, 식중독균 등 생물학적 용어 등이 다수 포함돼 있다.

식약청은 이번에 번역․발간된 책자를 통해 소비자의 식품  안전과 관련된 궁금한 점을 해소하며 일본에 식품을 수출하고자 하는 기업이 해당국가의 제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자료는 식약청 위해예방정책국 홈페이지(www.foodwindow.g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주경제= 최용선 기자 cys4677@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