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단지)를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로 선정됐다.
거점지구를 산업·금융·교육·연구 등의 측면에서 뒷받침할 기능지구로는 대덕단지와 인접한 청원(오송·오창)·연기(세종시)·천안 등이 지정됐다.
거점지구 대덕단지에는 과학벨트의 핵심요소인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대형실험시설인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서게 된다.
과학벨트 조성에 필요한 전체 예산 규모는 지난 2009년 정부가 마련한 과학벨트 종합계획안의 3조5000억원보다 1조7000억원이상 늘어난 5조2000억원으로 책정됐다.
과학벨트의 성공이 국가 과학기술의 미래에 얼마나 중요한 지를 보여준 변화다.
문제는 ‘후폭풍’.
숱한 논란 끝에 과학벨트 입지가 결정됐지만, 분란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경북 칠곡 출신 한나라당 이인기 의원이 단식 농성까지 벌였다.
과학 비즈니스벨트 탈락에 항의하며 삭발하는 인사들도 늘어나고 있다.
공동 유치를 추진해온 경북 울산 대구 등 3개시도는 정부가 과학벨트 입지로 대전 대덕지구를 선정한 것에 대해 “원천 무효”를 주장하고 백지화를 요구했다.
유치경쟁에서 탈락한 광주 지역구인 민주당 김영진 의원은 무효화를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충청권도 별반 다르지 않다.
홍재형(충북 청주 상당구) 국회부의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앞으로 과학벨트가 분산배치된다면 심각한 문제가 생길 것”이라며 ‘과학벨트 분산배치’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최근엔 한국형 중이온가속기(KoRIA)의 가속관 기초설계가 미국 미시간주립대의 중이온가속기 ‘에프립(FRIB)’를 표절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기도 했다.
이미 반발은 예견된 것이다.
입지 신청을 했던 10개 후보지 중 탈락 지역들의 반발은 자명한 것이 아닌가.
하지만 지금은 서로가 자중자애 할 때다.
이명박 대통령도 최근“과학벨트는 개방과 융합의 전초기지이자 원천기술의 산실로서 산업화를 넘어 선진화의 과제를 성취하기 위한 것”이라며 “대덕은 물론 대구·광주 연구개발특구가 그물망처럼 연결되고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학벨트는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올 연말이나 내년 초까지는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은 올 연말에 5개 연구단 정도를 발족시켜 문을 열 계획이지만 전체 5개 연구단이 모두 가동되려면 최소 1~3년은 더 소요된다.
중이온가속기 첫 가동은 2018년이 돼서야 시작된다.
과학벨트가 순조롭게 추진돼 본격 활동에 들어간다고 해도 당초 목표인 기초과학 진흥의 명제를 실현하기까지는 더 장대한 시간이 소요된다.
국가 백년대계인 과학벨트 사업의 성공을 위해 정부, 지자체, 과학기술계가 새로운 각오로 힘을 합쳐나가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