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방역당국 “말레이시아 변종, 새로운 변이 아냐…백신 등에 큰 영향 없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태림 기자
입력 2020-08-18 17: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부본부장(국립보건연구원장)이 18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코로나19 국내 발생현황 및 확진환자 중간조사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기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보다 전염력이 10배 강한 변종 바이러스가 발견됐다는 말레이시아 당국의 발표와 관련해 우리 방역당국은 해당 바이러스는 새로운 형태의 변이가 아닌 4월 이후 북미, 유럽, 우리나라 등에서 증가하고 있는 G그룹에 속한다고 밝혔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18일 오후 충북 오송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말레이시아가 발표한 바이러스(D614G)는 새로운 변이는 아니고 4월 이후 북미와 유럽, 우리나라에서 증가하고 있는 G(G,GH,GR)그룹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현재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크게 S, V, G(G, GH, GR로 세분화), L그룹 등으로 나눠 분류하고 있다.

앞서 말레이시아 보건당국은 기존 코로나19보다 전염력이 10배 이상 강한 변종을 발견했다고 밝혔는데, 방역당국은 이것이 G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권 부본부장은 “말레이시아로서는 G형이 최근에 우세하게 발견되는 것으로 경향이 바뀐 것으로 추정되는데, 국내에서는 이미 이태원 클럽 이후 GH형이 유행을 주도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GH형이 그전의 S형, V형 등 바이러스군보다 2.3~9.6배, 평균 6배 이상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파악했고 치명률이나 중증률은 다른 바이러스군에 비해 크게 다르진 않다고 분석했다”고 했다.

그는 “치료제나 백신의 개발과 관련해서는 결정적인 부위에서의 변이가 아니므로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진 않지만, 계속해서 변이를 추적하고 분석해서 세계에서 발생하는 변이에 대한 정보 공유를 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