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기업역사 한 세기 만에…“학계, 기업승계 학술연구 공식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현상철 기자
입력 2020-08-19 14: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중기중앙회 제공]


우리나라 학계가 앞으로 기업승계에 대한 학술연구를 본격화하기로 했다. 기업승계가 국내 경영 현실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에도 연구자료가 부족해 제대로 된 정책으로 발전하지 못했다는 판단에서다. 설립된 지 60년이 넘은 ‘한국경영학회’가 먼저 기업승계를 공식 주제로 다루기로 했다.

중소기업중앙회와 한국경영학회는 19일 ‘중소기업과 가업승계 특별세션’을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특별세션은 1959년 설립돼 국내 경영학 분야 대표학회인 한국경영학회가 주관했다. 경영학회가 기업승계를 주제로 세션을 마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별세션 조직위원장인 윤태화 가천대 교수는 “한국의 기업 역사가 한 세기를 넘었지만 기업승계 문제는 그동안 학술영역에서 다루지 않았다”며 “이로 인해 다른 나라에 비해 연구 자료가 부족해 기업승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많고, 체계적인 정책으로도 발전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학술세션은 기업승계에 대해 경영학적 학술연구를 공식화 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첫 주제발표는 이영한 서울시립대 교수가 맡았다. 그는 ‘기업승계 세제지원의 필요성과 가업승계 증여세과세특례 제도 개선방안’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창업자의 경영이념·철학의 계승·유지가 장수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고, 가업승계기업의 장기성과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상증세 부담으로 매각 등 사업포기나 조세회피전략 구사 등 부작용을 낳는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가업상속공제 확대를 주장했다.

‘가업승계 활성화를 위한 가업상속공제 제도 개선방안’을 주제로 이어진 발표에선 박종성 숙명여대 교수는 가업상속공제를 ‘기업상속공제’로 용어를 변경하고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업종변경을 전면 허용해야 한다”며 “자식이 기업승계를 포기해 폐업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전문경영인을 도입할 수 있도록 소유권과 경영권의 분리 승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