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늘어난 재택근무… "기업별 대처 각양각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조득균 기자
입력 2020-08-22 00: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산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또다시 폭발적으로 확산하면서 재택근무가 크게 늘었다. '코로나19' 재확산 소식에 기업들도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대기업은 휴가를 권장하거나 재택근무를 하며 적극적인 조치에 나서고 있다. 반면 상당수 중소기업은 이마저도 남의 이야기다. 가뜩이나 힘든 불황의 시기에 일손을 쉽사리 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인크루트가 최근 직장인 5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직장인들이 재택근무를 한 시기는 코로나19 이전(18.2%)에 비해 코로나19 이후(81.8%)가 네 배 이상 높았다. 또한 재택근무를 경험했다는 직장인의 77.0%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재택근무가 만족스러운 이유는 출퇴근 시간 절감(28.1%), 미팅 관련 이동시간 절감(10.3%), 불필요한 회의 감소(15.2%), 비대면 근무방식의 효율성(15.9%) 등 업무와 관련한 응답이 41.4%를 차지했다. 이 밖에 감염우려 최소화(17.4%), 업무와 가사, 육아도 가능(12.5%) 등의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재택근무 경험자들의 높은 만족도와는 별개로 이에 따른 위화감도 확인됐다. '재택근무가 직장인 불평등을 확대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81.2%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는 직장인마다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여건이 각각 다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인 업무에 대해 재택근무가 가능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63.5%였지만 이들 중 실제 재택근무 경험자는 64.7%, 미경험자는 35.3%로 집계됐다. 3명 중 1명은 재택근무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면서도 실제 재택근무를 경험하지 못한 것이다.

한 중소업체 직원은 "우리는 대기업과 달리 납기를 맞춰줘야 수금이 된다"며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조금 위험한 상황이지만 이렇게 나와서 일을 할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불안한 경기 전망 속에 근무 단축과 재택근무로 위험을 최소화하려는 기업들이지만 양극화된 근무 환경 격차도 선명했다.

한편 올해 상반기 공공기관의 재택근무 인원도 7만5000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초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에서 감염 차단을 위한 재택근무가 확산한 데 따른 것이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정부 각 부처 산하 공공기관 363곳의 재택근무 인원은 총 7만4681명이었다.

이는 지난해 재택근무 인원(1408명)의 53배에 달하는 것이다. 올해 2분기 공공기관 임직원(정원 기준)이 42만108명인 것을 고려하면 5.6명당 1명꼴이다. 상반기 재택근무 인원이 가장 많은 공공기관은 한국토지주택공사로 6800명이고 그다음으로 한국전력공사(5532명), 한국수력원자력(4673명), 한국도로공사(3604명), 국민연금공단(3206명) 순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