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새로운 감염 확산 경로 나왔다…아파트 환기구? 집도 불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기연 기자
입력 2020-08-27 14: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해외 연구 사례 중에도 환기구에서 바이러스 검출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새로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 경로가 나왔다. 바로 그나마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한 집이다.

27일 서울 구로구에 따르면 서울 구로구 구로1동 한 아파트의 5가구에서 8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한 아파트에서만 8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자 확진자가 아파트의 엘리베이터, 출입구 등을 만져 감염된 것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다. 하지만 복도식 아파트에서 같은 라인(101호, 201호, 301호) 가구가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전파 경로로 환기구가 거론됐다. 복도식 아파트는 환기를 비롯해 급수 배수 등을 공동으로 사용하기 때문.

구로구는 급·배수는 벽체 내 파이프나 발코니 배수구를 통하다 보니 직접적인 접촉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 화장실이나 주방에서 사용하는 환기구를 지목, 환경 검체를 취해 검사를 진행 중이다. 이후 환기구를 전면 소독했다. 

이미 해외에서는 집 또한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연구 보고서가 나온 바 있다. 프랑스 통신사 AFP에 따르면 싱가포르 국립 전염병센터(SNCID)와 국립국방과학연구소(DSO)는 공동으로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격리된 공간에서 표본을 추출했다. 3건 중 1건은 청소를 하기 전 방 구석구석에서 샘플을, 2건은 방을 소독한 후 샘플을 채취했다. 

연구 결과 청소 전 방에서는 침대 난간, 의자, 유리창, 바닥, 전등 스위치 등에서 코로나19 병원체가, 환자가 머문 화장실에서는 문고리, 변기 등에서 발견됐다. 공기 샘플에서는 음성 반응이 나왔지만, 배기구에 있던 면봉에서는 양성 반응이 나왔다. AFP는 "이 바이러스가 들어 있는 비말(침방울)이 공기 흐름을 따라 이동해 환기구에 내려앉아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홍콩 내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 확진 환자 A씨와 같은 아파트, 같은 라인에 사는 주민 B씨가 추가 감염된 것. B씨는 A씨 아래층에 살고 있어 건물 내 배기관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됐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주민 100여 명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전염병 권위자 위안궈융 홍콩대 교수는 "배설물에 있던 바이러스가 환풍기를 통해 아래층 화장실로 퍼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