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큐셀, AI 활용 미래 에너지 사업자로 진화…美소프트웨어 회사 인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신수정 기자
입력 2020-08-07 19: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한화솔루션 큐셀부문(한화큐셀)은 미국 에너지 소프트웨어 업체를 인수하면서 기존의 태양광 셀, 모듈 중심의 제조업에서 빅 데이터와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4차 산업기반의 미래형 에너지 사업자로 진화한다.

한화큐셀은 9일 미국 소프트웨어 업체인 그로윙 에너지 랩스(GELI·젤리)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올해 1월 한화케미칼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가 합병하면서 통합법인 한화솔루션이 출범한 이후 첫 번째 인수·합병(M&A)이다.

한화큐셀은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늦어도 연내에 인수 작업을 끝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0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된 젤리는 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해 상업용 태양광 발전 설비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제어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을 자체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젤리는 노스웨스턴 경영대학원 석사 출신으로 맥킨지를 거친 최고경영자(CEO) 댄 로플린을 비롯해 MIT 출신의 창업자 라이언 와테나 등 최고 수준의 경영진과 정보통신(IT)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한화큐셀은 이번 젤리 인수로 수익성이 높은 분산형 에너지 솔루션 시장에 진출할 수 있게 됐다. 지금까지는 태양광(PV) 모듈을 판매해 수익을 냈다면, 젤리 인수를 계기로 글로벌 시장에서 태양광 전력 패키지(PV+ESS)를 고객에게 임대한 뒤에 전력 거래 계약을 맺는 사업을 확대 할 수 있게 된다.
.
한화큐셀은 에너지 산업에 소프트웨어 기술을 접목할 필요성이 크다고 판단, 지난해 말부터 젤리 인수를 검토해 왔다. 당초 올해 1분기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감염증 확산으로 회사 차원의 투자 계획이 재조정되면서 협상 일정을 연장해 최종적으로 인수를 확정했다.

김희철 한화큐셀 사장은 “한화큐셀은 젤리 인수를 계기로 경쟁력 있는 에너지 솔루션을 개발해 빠르게 성장하는 세계 분산형 에너지 시장에서 선도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한화솔루션이 입주해 있는 한화그룹 장교동 본사 전경 사진=한화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