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 학생’ 문재인 대통령이 가장 궁금한 미래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봉철 기자
입력 2020-08-18 17:2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창덕여중서 학생들과 수업 체험…‘미래의 부동산’ 질문하며 관심

  • 그린 스마트 스쿨 시범학교…한국판 뉴딜 과제 추진 의지 재확인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서울 중구 창덕여중에서 한국판 뉴딜 10대 과제 중 하나인 '그린 스마트스쿨' 추진 관련 시도교육감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그린 스마트 스쿨’ 시범학교로 불리는 서울 중구에 위치한 창덕여자중학교를 찾아 ‘일일 학생’으로 변신했다. 이번 방문은 한국판 뉴딜 10대 과제 중 하나인 그린 스마트 스쿨의 본격적인 추진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문 대통령은 태블릿PC등을 관리하는 테크센터에서 수업에 사용할 태블릿을 수령한 뒤, 학습용 소프트웨어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수학 수업을 들었다.

수업이 시작되자, 교사는 “대통령님은 학교 다니실 때 수학이 재미있으셨는가”라고 물었고 문 대통령은 “아이고, 잘 못했다”라고 답해 좌중에 웃음이 터졌다.

문 대통령은 ‘미래에 대해 궁금한 게 있느냐’는 교사의 질문에 “지금 제일의 현안인 미래의 부동산에 대해 궁금하다”고 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부동산 정책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해당 교사가 “저도 관심이 많다. 그럴 때 그래프를 그려서 변화를 관찰해 패턴을 분석하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고, 문 대통령은 “사회적 현상이나 경제적 현상도 분석되는가”라고 재차 질문했다.

이어 디지털교과서와 연계한 실감형 콘텐츠(AR)를 통해 이용한 과학 수업이 진행됐다. 몸 안의 심장을 AR을 이용해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되는데, 문 대통령도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심장을 들여다봤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이런 디지털 교과서가 과학 전 분야에 다 준비됐는가”, “학교 선생들이나 학생들에게도 다 보급이 됐는가” 등을 물으며 감탄했다.

곧바로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17개 시·도교육감이 참여하는 간담회가 진행됐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과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현장 참석했고, 15개 시·도교육감은 화상 연결됐다.

간담회에서는 그린 스마트 스쿨 추진계획 보고와 함께, 추진 상황 발표, 지역별 우수사례 보고 등이 논의됐다.

한편 이번 일정은 문 대통령의 한국판 뉴딜 관련 세 번째 행보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디지털 뉴딜 현장 행보로 강원도 춘천을, 7월에는 그린 뉴딜 현장인 전북 부안 해상풍력 실증단지를 방문했다.

그린 스마트 스쿨은 디지털과 친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미래형 학교 공간을 뜻한다.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저탄소·제로에너지를 지향하며 학생을 중심으로 학습휴식 공간을 혁신하고 학교가 마을의 구심점이 되도록 하는 게 목표다.

정부는 2025년까지 18조5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노후학교 건물 2835동을 디지털·친환경 환경에 맞게 고치거나 리모델링할 계획이다.

문 대통령이 찾은 창덕여중은 2015년부터 전과목 디지털 기반 맞춤형 학습 체계와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을 갖추는 등 그린 스마트 스쿨의 모델이 되는 곳이다.

문 대통령은 “상생과 포용을 토대로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함께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이 가장 먼저 적용돼야 할 현장 중 하나가 학교”라며 “그린 스마트 스쿨을 우리 교육의 방식과 사회적 역할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지역과 국가의 대전환을 이끄는 토대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