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가능할까...열띤 정책토론 열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선국 기자
입력 2020-08-19 16:0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서승원 부회장 "코로나19 이후 더 큰 틀에서 디지털 전환 이뤄져야"

  • 김경만 의원 "스마트그린산단·공장 선도형 경제 견인하는 성공적 모델돼야"

19일 국회 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왼쪽부터 김경만 더불어민주당 의원, 주영섭 고려대 교수,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중소기업중앙회]

"코로나19 이후에는 중소기업의 개별적인 구축을 넘어 업종·산업단지별로 큰 틀에서도 시너지 효과를 내야 합니다."

서승원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은 19일 국회에서 열린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정책토론회'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중소기업계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처럼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서 부회장을 비롯해 더불어민주당 디지털뉴딜분과위원회 디지털전환 태스크포스(TF)의 강병원 TF단장, 신정훈·김경만·고민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조용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주영섭 고려대 교수 등이 참여했다. 토론회는 지난달 14일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10대 대표과제 중에서 스마트그린산단과 스마트공장 중심으로 정책추진방향, 과제도출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 부회장은 "중소기업은 4차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공장 구축 등 많은 노력을 해 왔지만, 더 큰 틀에서의 변화가 필요하다"며 "업종·특성화단지별 스마트공장 구축은 관련 업계에서 공통으로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스마트공장 구축 시 정부지원금도 업종별로 차등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 부회장은 또 "중기중앙회는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에 많은 의견을 제시하고, 변화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했다. 

조용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이날 주제 발표를 통해 스마트공장 추진 정책 제고에 따른 스마트공장 세부추진 방향을 다뤘다. 인더스트리 4.0 이후의 변화와 스마트공장 정책 추진현황에 대해 전반적인 개황을 설명한 후 향후 스마트공장 추진전략을 밝혔다. 

조 수석연구원은 "스마트공장이 한 단계 발전하기 위해서는 공급기업과 수요기업이 협력해 부가가치가 있는 E-Plant 공장을 만들 수 있는 엔지니어링 기업을 육성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진행과 관련해 공급기업 부실화와 수요기업의 소극적인 참여에 따른 시스템 미사용과 같은 부정적인 측면의 개선을 위해서는 산업단지·협회 중심으로 스마트화에 대한 현장 수요를 발굴해 수요기업 협의체나 로컬밸류체인(Local Value Chain)구성과 공급기업을 매칭하는 컨소시엄 구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스마트공장 분야 전문 연구기관 설립과 고용노동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과정 연계를 통한 교육과정·테스트베드 확보 등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박민원 경남창원스마트산단 단장과 정철영 동성사 대표는 경남창원스마트산단의 추진사업과 스마트공장 구축 효과에 대한 사례를 발표했다.

이후 주영섭 고려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에는 △김일호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장 △김용채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경제정책관 △황준석 서울대 교수 △조용준 중소기업중앙회 부회장이 참여해 스마트그린산단과 스마트공장의 정책추진 방향과 과제도출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김경만 의원은 "한국판 뉴딜이라는 비전이 세워졌으니 국회와 정부가 추진계획을 세우고 국민과 소통해 참여를 이끌어내야 할 때"라며 "스마트그린산단과 스마트공장이 우리 경제를 선도형 경제로 이끄는 성공적 모델이 될 수 있도록 맡은 바 역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