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흔들리는 상호금융] "관리 안 하면 무너진다"···'부실채권 TF' 띄운 수협·신협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성준 기자
입력 2024-06-24 18:0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올해 수협중앙회와 신협중앙회 등 상호금융회사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상호금융권이 금융권 부실 뇌관으로 지목받고 있다.

    금융당국의 건전성 관리 압박 수위가 높아지자 상호금융권은 전국 단위 조합 부실채권(NPL)을 한데 모아 정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부실을 떨어내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24일 상호금융권에 따르면 수협중앙회는 이달 10일 부실채권 정리를 위한 TF를 출범시키고 본격적인 부채 정리에 들어갔다.

  • 글자크기 설정
  • 부실 정리 자회사 없는 수협·신협, 이달 나란히 부실채권 TF 구성

  • TF 통해 개별 조합 부실채권 일괄 매각 고민···자회사 설립 준비도

  • 연체율 급등 정리 불가피···새마을금고 비상대응 사례 본따르기해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올해 수협중앙회와 신협중앙회 등 상호금융회사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상호금융권이 금융권 부실 뇌관으로 지목받고 있다. 금융당국의 건전성 관리 압박 수위가 높아지자 상호금융권은 전국 단위 조합 부실채권(NPL)을 한데 모아 정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부실을 떨어내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24일 상호금융권에 따르면 수협중앙회는 이달 10일 부실채권 정리를 위한 TF를 출범시키고 본격적인 부채 정리에 들어갔다. 수협은 90개의 단위 조합을 두고 있는데, 개별 조합이 각각 부실채권을 매각하기에는 시장 상황도 좋지 않고, 협상에서나 효과 면에서 영향력이 약할 수밖에 없다. 이에 수협은 중앙회 차원에서 TF를 꾸리고, 개별 조합의 부실채권을 하나로 묶어 시장에 일괄 매각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신협중앙회 역시 이달 중순께 내부적으로 부실채권 TF를 꾸리고, 연체를 감축할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수협과 신협은 여타 상호금융권과 달리 부실채권 정리를 돕는 자회사를 두지 않은 탓에 건전성 관리에 더욱 예민할 수밖에 없다. 특히 신협은 최근 연체율이 7%에 근접해 금감원이 직접 수시검사에 들어간 만큼,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이에 신협은 내달 부실 정리 자회사인 'KCU NPL 대부'도 출범시킬 예정이다. 자회사는 현재 등기를 마치고, 인원 채용도 마무리 작업에 들어갔다. 신협 관계자는 "현재 동일인 대출한도 규정상 신협중앙회는 자회사에 300억까지만 대출이 가능하지만, 곧 규정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를 통해 신협의 부실도 신속히 정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협과 신협이 중앙회 차원에서 조합 부실 채권 정리에 나선 건 건전성 지표에 빨간불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상호금융권 연체율(총여신 대비 1개월 이상 연체액)은 지난해 2.97%를 보였는데, 이는 전년(1.52%) 대비 두 배 가까이 뛴 수준이다. 상호금융권은 느슨한 감독 뒤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빠르게 늘렸고, 고금리 기조가 길어지면서 연체율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상호금융권에서 부실채권 TF를 꾸린 것은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새마을금고는 이미 지난해 연체율 급등과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위기 등이 불거지면서 금융위기의 진앙지로 꼽혔고, 정부의 고강도 감독 아래 곧장 TF를 꾸려 연체율 관리에 들어간 바 있다. 농협도 지난 4월 부채가 쌓이면서 '연체 채권 현장 지원 TF'를 꾸린 바 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산림조합중앙회는 TF를 꾸리는 대신 여신부를 중심으로 여타 부서 지원을 받아 현장 점검에 나서고 있다.

상호금융권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부동산 PF 구조조정이 가시화한다면 적지 않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TF를 통해 빠르게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것은 물론, 펀드를 띄워 일부 부실채권을 매각하는 방안 등도 함께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