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 마감] 기술주 중심 차익실현...동반 하락 마감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약세로 마감했다. 최근 급등세에 따른 차익실현성 매물이 몰린 영향이다. 엔비디아발 호재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는 기술주에 차익실현성 매물이 몰린 영향이다. 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43.36포인트(0.52%) 밀린 4만6358.42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8.61포인트(0.28%) 하락한 6735.11, 나스닥종합지수는 18.75포인트(0.08%) 떨어진 2만3024.63에 장을 마쳤다. S&P500 지수와 나스닥 2025-10-10 08:20
-
WSJ "트럼프 행정부, 복제약은 의약품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 계획"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의약품 관세 부과 대상에서 복제(제네릭) 의약품을 제외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WSJ에 보낸 성명에서 "행정부는 복제 의약품을 상대로 한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관세 조사를 담당하는 상무부 대변인도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로 복제약에 대한 관세가 도출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WSJ은 이번 방침이 아직 최종 결정된 것은 2025-10-09 10:58
-
美 셧다운 여파에 안전자산 수요 지속…金·銀 가격 사상 최고치 미 연방정부 일시적 업무정지(셧다운) 여파에 따른 안전자산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 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4070.5 달러를 나타냈다. 이는 전장보다 1.7% 오른 수치로,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다. 전날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4000달러를 돌파한 금 선물 가격은 이날 추가 상승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이날 미 동부시간 오후 1시 45분 기준 전장보다 1.7% 상승한 온스당 4050.24달러를 보였다. 이 역시 사상 최고치다. 같은 시간 은 현물 가격은 전장보다 3.2 2025-10-09 06:13
-
IMF 총재 "세계경제 두려워했던 것보단 낫지만, 관세 영향 아직 몰라"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세계 경제는 미국의 급격한 관세 인상 정책에 예상보다 잘 버티고 있다면서도, 아직 관세 영향이 전부 나타난 것이 아닌 만큼 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8일(현지시간) 내주 세계은행·IMF 연례 회의를 앞두고 워싱턴DC에서 진행된 행사에서 세계 경제 상태에 대해 "두려워했던 것보다는 낫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보다는 나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난 4월까지만 해도 여러 전문가가 미국 2025-10-09 05:58
-
WSJ "현대차 트럼프에 구애 공세…반응은 냉랭" 현대차그룹이 미국에 전방위적인 구애 공세를 펼쳤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냉랭한 반응이 돌아왔다는 보도가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 현대차가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자, 취임식에 100만 달러(약 14억원)를 기부하고, 지난 3월 2028년까지 향후 4년 동안 210억 달러(약 29조9145억원) 규모의 투자를 발표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한 무역 정책에 대응하려 했으나, 지금까지는 오판으로 드러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대차는 현재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 서명이 2025-10-08 18:47
-
중국 외환보유고 10년만에 최고치...대만은 6000억달러 첫 돌파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로 글로벌 자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1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7일(현지시간) 매일경제신문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은 9월 말 기준 외환보유고가 3조3387억 달러(약 4743조원)를 기록했고 전월 대비 165억 달러(약 23조원)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는 2015년 말 이후 최고 수준이며, 지난해 말과 비교해 1363억 달러(약 193조원) 증가했다. 중국 외환보유고는 2015년 11월 3조4383억 달러, 12월 3조3303억 달러 수준을 기록한 뒤 감소세를 보 2025-10-08 15:58
-
엔/달러 8개월만에 152엔대...다카이치 집권 기대에 엔저 가속 엔/달러 환율이 8일 장중 152엔선을 돌파하며 8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날 오전 9시 23분 기준 도쿄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달러당 152.3엔으로, 전 거래일 종가보다 1.11% 올랐다. 엔화 약세는 자민당 신임 총재로 선출된 다카이치 사나에의 집권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다카이치는 '아베노믹스'를 지지하며 금융 완화 기조 유지를 주장해 왔다. 다카이치는 작년 총재 선거 때는 "지금 금리를 올리는 것은 바보라고 생각한다"고 발언했으며, 아베노믹스의 금융 완화 기조를 2025-10-08 10:39
-
WTO, 내년 세계 무역성장률 1.8%→0.5%로 대폭 하향...트럼프 관세전쟁 여파 세계무역기구(WTO)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여파를 반영해 내년 세계 상품 무역 성장률 전망치를 크게 낮췄다. 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WTO는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2026년 글로벌 상품 무역 성장률 전망치를 0.5%로 제시했다. 지난 8월 전망치(1.8%)에서 1.3%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WTO는 내년에도 관세 인상 조치의 영향이 이어지면서 무역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응고지 오콘조-이웰라 WTO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본부에서 열린 기자회견 2025-10-08 09:33
-
사람 뇌에 컴퓨터 칩 이식한 뉴럴링크…관련 논문 학술지 게재 사람 두뇌에 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을 이식한 뉴럴링크의 실험 결과를 담은 논문이 처음으로 학술지에 게재된다. 뉴럴링크는 일론 머스크의 뇌신경과학 관련 스타트업이다.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마이클 로턴 배로신경학연구소장은 지난 3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뇌-이식 콘퍼런스’에서 뉴럴링크 칩을 처음으로 이식받은 환자 3명의 데이터를 담은 논문을 뉴잉글랜드 의학저널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배로신경학연구소는 뉴럴링크의 임상실험 기관이다. 논문이 발표되면 과학자 2025-10-06 15:14
-
OPEC+, 11월 원유 생산 하루 13.7만 배럴 증산 결정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으로 구성된 OPEC+가 11월부터 하루 13만7000배럴 규모의 원유 증산을 결정했다. 이번 결정은 시장의 기대치를 밑도는 수준이다. 6일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 소식이 전해진 뒤 싱가포르 시장 개장과 함께 국제유가는 약 1% 상승하며 제한적인 반응을 보였다. 11월 증산 폭은 10월과 동일하며, 일부에서 예상한 하루 50만 배럴의 30% 수준에 그쳤다. OPEC+는 이번 증산 결정의 배경으로 글로벌 경제의 안정적 전망과 시장의 건전한 펀더멘털을 꼽으며 "시 2025-10-06 09:22
-
中 국경절, 황금연휴 맞이 관광객 특수…내수효과 '기대' 중국이 국경절·중추절(10월 1~8일) 황금연휴를 맞아 관광객 특수를 누리고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경제매체 차이롄서, 인터넷 매체 펑파이 등 중국 매체는 국경절·중추절 연휴를 맞아 유명 관광지에 예년보다 관광객이 훨씬 늘어났다고 3일 보도했다. 중국 교통운수부에 따르면 연휴 첫날인 지난 1일 전국 지역 간 인구 이동량은 연인원 3억3578만8000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1.4% 늘었다. 철도 여객 수송인원은 7.9% 증가해 2313만2000명으로 하루 기준 역대 최다치를 경신했다. 아울러 선박도 1 2025-10-03 19:44
-
'미국과 관세전쟁' 중국·브라질, 1조4000억 규모 투자 펀드 조성 약속 미국이 주도하는 관세 전쟁에 맞서고 있는 중국과 브라질이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양국 주요 은행은 10억 달러(약 1조4000억원) 규모의 투자 펀드 조성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통신은 3일(현지시간) 중국 국유 수출입은행(CEXIM)과 브라질 국영 경제사회개발은행(BNDES)이 각각 6억 달러(약 8445억원), 4억 달러(약 5630억원)를 출자해 펀드를 조성하고, 내년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해당 펀드는 에너지 전환·인프라 건설·광산업·농업·인공지능(AI) 등의 분 2025-10-03 18:42
-
뉴욕증시, 연방정부 셧다운에도 최고치…강세 지속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사태에도 뉴욕증시가 강세를 지속했다. 3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78.62포인트(0.17%) 상승한 4만6519.72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15포인트(0.06%) 오르며 6715.35에 거래를 마쳤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도 88.89포인트(0.39%) 증가해 2만2844.05를 기록했다. 이에 뉴욕증시 주요 3대지수는 전부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넘어섰다. 투자자들은 연방 2025-10-03 06:06
-
"오픈AI, 기업가치 700조 평가…세계 1위 스타트업으로" 오픈AI가 기업가치를 5000억달러(약 700조8000억원)로 평가받은 내부자 주식 매각을 마무리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은 오픈AI 전·현직 직원들이 회사로부터 받아 보유해온 주식 약 66억달러어치를 트라이브캐피털을 포함하는 투자자 그룹에 매각했다고 전했다. 애초 오픈AI가 허용한 주식 매각 규모는 100억달러어치를 넘었지만 실제 전·현직 직원들이 매각에 나선 금액은 이에 못 미쳤다. 이는 전·현직 직원들의 회사 미래 가치에 대한 신뢰를 2025-10-02 16:05
-
'韓 철강 최대 수출시장' EU, "철강 관세 50%로 인상…수입 쿼터는 절반으로" 유럽연합(EU)이 미국과 캐나다처럼 수입산 철강 관세를 50%로 올리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오는 7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철강 부문 관련 새 정책 패키지를 발표할 계획이다. 무관세가 적용되는 철강 수입 쿼터 물량도 현행보다 절반 가까이 줄이는 방안도 여기에 포함될 예정이다. 블룸버그 통신도 수입 쿼터 소진 물량부터 적용되는 관세율이 현행 25%에서 인상되고 현재 50%를 부과하는 미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의 정책과 유사 2025-10-02 09:49
-
美대법, 트럼프의 연준이사 해임 시도에 제동…"1월까지 유보" 미국 연방대법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해임을 시도 중인 리사 쿡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의 직위를 당분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대법원은 이날 법무부가 제출한 '쿡 이사 해임 중단 명령을 즉각 철회해 달라'는 요청에 대해 즉각 판결하지 않고, 내년 1월 구두변론을 열어 최종 판단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쿡 이사는 대법원 최종 판결 전까지 직위를 유지하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월 전임 바이든 행정부 임기 때 임명된 쿡 이 2025-10-02 08:46
-
[뉴욕증시 마감] 의약품 관세 면제 기대감에 상승...일라이릴리 8%↑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상승 마감했다. 미국 연방 정부가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 사태를 맞았으나 일시적이라는 낙관론이 우위였고 의약품 관세 면제에 대한 기대감도 커져지면서 4거래일 연속 강세를 이어갔다. 1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3.21포인트(0.09%) 오른 46,441.1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2.74포인트(0.34%) 오른 6,711.20, 나스닥종합지수는 95.15포인트(0.42%) 상승한 22,755.16에 장을 닫았다. 2025-10-02 08:20
-
[뉴욕증시 마감] 셧다운 우려에도 상승…다우 사상 최고치 경신 30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우려에도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1.82포인트(0.18%) 오른 4만6397.89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7.25포인트(0.41%) 뛴 6688.46을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8.86포인트(0.31%) 상승한 2만2660.01로 마감했다. 장 초반 증시는 셧다운 가능성에 대한 경계감 속에 대체로 약세 흐름을 보였다. 도널드 2025-10-01 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