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합의 못한 대만 관세 32%→20%로 인하...캐나다는 25%→35%
    트럼프, '합의 못한' 대만 관세 32%→20%로 인하...캐나다는 25%→3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협정을 맺지 않은 국가들에 예고한 대로 상호관세율을 부과했다. 아직 합의 내용이 공개되지 않은 대마에 대해서는 기존 32% 관세를 20%로 낮췄다. 캐나다에 대한 관세율은 무역 협상에 응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기존 25%에서 35%로 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한국 등 주요 교역국과 진행한 무역협상 결과를 반영해 기존에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조정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은 기존 25%에서 15%로 낮아졌다. 일본(15%)을 비롯해 유럽연합(EU) 2025-08-01 10:56
  • 트럼프, 韓과 합의대로 상호관세 25%→15% 명시한 행정명령
    트럼프, 韓과 합의대로 상호관세 25%→15% 명시한 행정명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 합의한 대로 한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효일(8월1일)을 앞두고 31일(현지시간) 한국 등 주요 교역국과 진행한 무역 협상 결과를 반영해 기존에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조정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행정명령 부속서에 명시된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보면 한국은 15%로 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에 발표한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였다. 일본의 상호관세율도 무역 합의 내용을 반영해 15%로 낮 2025-08-01 08:42
  • [뉴욕증시 마감] MS 시총 4조달러 돌파에 차익실현...다우 0.7%↓
    [뉴욕증시 마감] MS 시총 4조달러 돌파에 차익실현...다우 0.7%↓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약세로 마감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는 실적 호조로 강세를 보였으나 이게 되레 차익실현 욕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제약사에 의약품 가격을 낮추도록 압박하는 행정명령을 내린 것도 지수를 끌어내렸다. 31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0.30포인트(0.74%) 떨어진 4만4130.98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3.51포인트(0.37%) 밀린 6339.3 2025-08-01 08:18
  • [종합] 美 연준, 트럼프 금리 인하 요구 불구 금리 동결…관세 불확실성
    [종합] 美 연준, 트럼프 금리 인하 요구 불구 금리 동결…"관세 불확실성"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계속된 금리 인하 요구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발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지목하며 금리를 동결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제롬 파월 미 연준의장은 29~30일 양일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치고 미국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를 현행 4.25~4.50%로 동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월 트럼프 2기 집권 이후 5회 연속 동결이다. 파월 의장은 금리 동결의 주된 이유로 트럼프발 관세에 따른 불확실성을 꼽았다. 그 2025-07-31 16:06
  • 일본은행 기준금리 4회 연속 0.5% 동결...관세 영향 더 지켜봐야
    일본은행 기준금리 4회 연속 '0.5%' 동결..."관세 영향 더 지켜봐야"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31일 기준금리를 4회 연속 0.5%로 동결했다. 일본은행은 30~31일 개최한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인 단기 정책금리를 현행 수준에서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일본은행은 미국 관세정책으로 인해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충분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세가 일본 경제와 물가 동향에 미치는 영향을 계속해서 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17년 만에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한 것을 시작으 2025-07-31 13:44
  • [종합] 한미 협상 타결, 韓 상호관세·車관세 15%로 인하…미국에 488조원 투자
    [종합] 한미 협상 타결, 韓 상호관세·車관세 15%로 인하…미국에 488조원 투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한국과 '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상호관세는 당초 25%에서 15%로 인하됐고, 자동차 관세 역시 15%로 조정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한국과의 무역 협정 체결 사실을 알리며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며 대통령인 내가 직접 선정한 투자 대상에 대해 총 3500억 달러(약 488조원)를 미국에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 2025-07-31 11:34
  • 美 상무 캄보디아·태국과 무역 협정 체결
    美 상무 "캄보디아·태국과 무역 협정 체결"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미국이 최근 국경 분쟁을 치른 태국, 캄보디아와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30일(현지시간) 미국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주말 내내 태국과 캄보디아 간 충돌을 해결했다"며 "그는 무역 협상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그는 나를 전화 상으로 초대했고, 나는 그가 캄보디아와 태국 문제를 처리하는 동안 토요일 내내 (대화를) 듣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월요일 무슨 일이 발생했나? 휴전을 발표 2025-07-31 11:14
  • 美 USTR 대표 트럼프, 교역국들과 협상서 급소 공략…한국에도 그렇게 해
    美 USTR 대표 "트럼프, 교역국들과 협상서 급소 공략…한국에도 그렇게 해" 한·미 양국이 30일(현지시간) 무역 협상을 마무리지은 가운데 미국 측 협상대표 중 한 명이었던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주요 교역국들과 협상에서 잇따라 급소를 공략했다며, 한국과의 협상에서도 그렇게 했다고 평가했다. 그리어 대표는 이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항상 그랬듯 미국에 있어 힘든 상대였다"며 "우리는 그들과 지난 기간 협정을 맺었지만, 우리의 대미 적자가 계속 확대됐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2025-07-31 10:49
  • [뉴욕증시 마감] 美연준, 금리 5연속 동결에…혼조 마감
    [뉴욕증시 마감] 美연준, 금리 5연속 동결에…혼조 마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를 다시 동결하면서 뉴욕증시가 약세로 마감했다. 3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0.38% 내린 4만4461.2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0.12% 내린 6362.90으로 마감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0.15% 오른 2만1129.67로 장을 마쳤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 2025-07-31 08:08
  • 美연준, 트럼프 압박에도 금리 5연속 동결…위원 2명, 파월에 맞서 인하 주장
    美연준, 트럼프 압박에도 금리 5연속 동결…위원 2명, 파월에 맞서 인하 주장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0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현행 4.25~4.50%로 동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반복된 금리 인하 요구에도 불구하고 연준은 이틀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5회 연속 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이번 결정으로 미국과 한국 간 기준금리 차는 상단 기준 2.0%포인트(p) 수준을 유지하게 됐다. 연준은 금리 동결 결정의 배경에 대해 "최근 지표들은 상반기에 경제활동의 성장세가 둔화했음을 시사한다"며 "(미국의) 실업률은 여전히 낮 2025-07-31 07:48
  • 미국 2분기 GDP 3.0%↑…1분기 역성장 뒤 반등
    미국 2분기 GDP 3.0%↑…1분기 역성장 뒤 반등 미국 경제가 올해 2분기 들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며 1분기 역성장에서 반등했다. 미 상무부는 30일(현지시간)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속보치를 발표하며, 미국 경제가 전기 대비 연율 기준 3.0% 성장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전망치인 2.3%(다우존스 기준)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미국의 잠재성장률(2% 초반 추정)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앞서 미국 경제는 1분기 일시적 수입 급증의 영향으로 0.5% 역성장한 바 있다. 당시 수입 급증은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를 앞둔 재고 확보 수요가 집중된 데 따른 것 2025-07-30 21:59
  • 美 7월 민간 고용 10만4천명 증가…소비 회복에 고용 반등
    美 7월 민간 고용 10만4천명 증가…소비 회복에 고용 반등 7월 들어 미국의 민간 부문 고용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는 민간 조사 결과가 나왔다. 미국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은 30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7월 미국 민간 기업의 고용이 전월 대비 10만4천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달인 6월의 2만3천명 감소에서 반등한 수치이며, 다우존스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6만4천명)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서비스 분야의 회복이 눈에 띈다. 여가 및 접객업에서 4만6천명, 금융활동 부문에서 2만8천명, 건설업에서 1만5천명의 고용이 각각 2025-07-30 21:44
  • 멕시코, 中 쉬인·테무 등 수입품 관세 33.5%로 인상…美 압박에 대응
    멕시코, 中 쉬인·테무 등 수입품 관세 33.5%로 인상…美 압박에 대응 멕시코 정부가 중국 온라인 쇼핑몰 쉬인(Shein)과 테무(Temu) 등에서 직구한 소액 구매품에 부과되는 수입 관세를 기존 19%에서 33.5%로 대폭 인상했다.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멕시코 정부는 지난 28일 관보를 통해 개정된 국제 무역규칙을 발표했으며, 새 관세율은 멕시코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에서 수입되는 소액 구매품에 적용된다고 전했다. 이번 조치에 따라 중국을 비롯한 멕시코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의 제품에 대해 33.5%의 관세가 부과된다. 다만 미국이나 2025-07-30 17:08
  •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공급 계약사는 테슬라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공급 계약사는 테슬라" LG에너지솔루션이 LFP 배터리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한 대상이 테슬라라고 로이터통신과 블룸버그통신이 소식통들을 인용해 30일 보도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이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 공장에서 생산될 예정인 가운데, 자동차에 사용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장치(ESS)에 사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5조9442억원 규모의 LFP 배터리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매출의 23.2%로 오는 2030년 7월31일까지 5년간이다. 업체와 구체적인 지역은 비공개했다. 2025-07-30 13:41
  • [뉴욕증시 마감] FOMC·실적발표 앞두고 동반 약세 마감
    [뉴욕증시 마감] FOMC·실적발표 앞두고 동반 약세 마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결정과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뉴욕증시가 동반 약세로 마감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4.57포인트(0.46%) 내린 4만4632.99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8.91포인트(0.30%) 하락한 6370.8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80.29포인트(0.38%) 떨어진 2만1098.29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이날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 2025-07-30 08:20
  • [뉴욕증시 마감] 대형주 실적 발표·FOMC 등 빅위크 앞두고 혼조 마감
    [뉴욕증시 마감] 대형주 실적 발표·FOMC 등 '빅위크' 앞두고 혼조 마감 미국 뉴욕증시가 주요 기술주 실적 발표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주요 경제지표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했다. 2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4.36포인트(0.14%) 내린 4만4837.56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1.13포인트(0.02%) 상승한 6,389.77, 나스닥종합지수는 70.27포인트(0.33%) 오른 2만1178.58에 장을 마쳤다. S&P500과 나스닥은 이날 나란히 사상 최고 종가를 또 한 번 갈아치웠다. S&P50 2025-07-29 08:22
  • 트럼프, 미중 무역협상 타결 위해 中 기술수출 통제 동결
    "트럼프, 미중 무역협상 타결 위해 中 기술수출 통제 '동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성사 및 무역합의 진전을 위해 중국에 대한 기술 수출 통제를 사실상 동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BIS)이 최근 수개월간 중국을 겨냥한 강경 조치를 자제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미·중 양국은 이날부터 이틀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세 번째 고위급 무역협상을 가질 예정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행정부의 고성능 반도체 수출 제한 2025-07-28 15:10
  • [종합] EU, 美와 15% 관세 합의…日보다 더 큰 조건으로 관세 인하
    [종합] EU, 美와 15% 관세 합의…日보다 더 큰 조건으로 관세 인하 미국과 유럽연합(EU)이 27일(현지시간) 무역협상 종료 시한을 닷새 앞두고 EU산 제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합의에 전격 합의했다. EU는 일본보다 더 큰 조건을 수용하며 관세율을 낮추는 데 동의했지만, 당초 예고됐던 30%의 고율 관세를 피하면서 미·EU 간 무역전쟁의 전면전은 피하게 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약 1시간 회동한 뒤 '15% 관세율'에 합의했다고 각각 발표했다. 이번 합의에 따라 양측은 항공 2025-07-28 1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