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사진=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이재명 정부의 1기 내각을 구성하는 국무위원 후보자들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시작됐다. 정부가 출범하고 처음으로 국회에서 인사 평가를 받는 자리인 만큼, 더불어민주당은 최대한 국정 주도권을 뺏기지 않기 위한 엄호 태세에 나섰다. 국민의힘은 각 후보자의 자격 미달과 부실한 자료 제출을 문제 삼아 '피켓 시위'를 했다.
인사청문회 첫날인 14일 여야는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다. 여야는 이날 여성가족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통일부 등 4개 부처 장관 후보자들의 청문회를 열었다.
국민의힘이 '낙마 1순위'로 지목한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개회한 지 14분 만에 정회했다. 여야가 후보자 선서와 의사진행 발언 순서를 두고 충돌했다. 국민의힘 소속 이인선 여가위원장은 후보자 선서를 먼저 진행하겠다고 했고, 민주당 소속 여가위 위원들은 의사진행발언이 우선이라고 반발했다.
강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는 국민의힘 소속 여가위 위원들의 '피켓 시위'도 있었다. 이들은 '갑질 장관', '사퇴' 등이 적힌 피켓을 내걸었다.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 관계자들도 청문회장에 들어와 '강요된 사적지시, 선넘은 갑질행동, 우리가 기억한다'가 적힌 팻말을 들고,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하기도 했다.
강 후보자는 '보좌진 갑질 의혹' 관련해 "상처받았을 보좌진께 심심한 사과를 드린다"고 했지만, 비판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았다. 또 강 후보자는 쓰레기를 보좌진이 대신 버려줬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집에 가사도우미가 항상 거주했다"며 "여당 의원들께는 저희 집에 이모님이 있었다는 자료를 보여드렸다"고도 했다.
배경훈 과기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는 약 5분 만에 개의 절차가 중단됐다. 과방위 소속 국민의힘 위원들이 노트북에 '최민희 독재 아웃, 이재명 협치하라'는 문구가 적힌 팻말을 붙이자 의원들 사이에서 고성이 오갔고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곧바로 산회를 선포했다. 산회 선포는 개의 전에 이뤄져 무효였지만 청문회는 잠시 멈췄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와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비교적 여야 간 충돌 없이 전개됐다. 민주당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아주경제에 "진성준 정책위의장이 최근 언론에서 '각 후보자의 논란에 대한 해명을 듣고 심각하게 고려할 수 있다'고 한 건 원론적인 이야기"라며 "최대한 엄호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15일에는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열린다.
가장 주목할 청문회는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와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 인사청문회로 보인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무자격 오적을 즉각 임명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권 후보자는 송 비대위원장이 말한 '무자격 오적' 중 한 명이다.
권 후보자는 2023년과 2024년 각각 5곳, 4곳 업체서 일하고 총 7000만∼8000만원의 급여를 받은 것과 관련해 '허위 근무' 의혹,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2021년 대법원에서 징역형 집행유예 판결이 확정돼 선거비용을 반환해야 하지만 현재까지 미납됐다는 의혹도 나온다. 그외에도 논문표절 의혹 등이 있다.
임 후보자는 세금 탈루 의혹과 함께 전관 특혜 논란도 제기됐다. 그는 국세청 퇴직 후 2년간 세무법인에서 고문으로 재직하며 고액의 자문료를 받은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 임 후보자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 질의 답변서에서 "매출은 기존부터 세무 업계에서 활동하며 전문성을 쌓은 회계사와 세무사 등 약 20명의 전문가와 함께 이룬 매출의 합계"라며 "전관예우 등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인사청문회 첫날인 14일 여야는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다. 여야는 이날 여성가족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통일부 등 4개 부처 장관 후보자들의 청문회를 열었다.
여가위는 개회한 지 14분 만에 정회, 과방위는 약 5분 만에 개의 절차 중단
국민의힘이 '낙마 1순위'로 지목한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개회한 지 14분 만에 정회했다. 여야가 후보자 선서와 의사진행 발언 순서를 두고 충돌했다. 국민의힘 소속 이인선 여가위원장은 후보자 선서를 먼저 진행하겠다고 했고, 민주당 소속 여가위 위원들은 의사진행발언이 우선이라고 반발했다.
강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는 국민의힘 소속 여가위 위원들의 '피켓 시위'도 있었다. 이들은 '갑질 장관', '사퇴' 등이 적힌 피켓을 내걸었다.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 관계자들도 청문회장에 들어와 '강요된 사적지시, 선넘은 갑질행동, 우리가 기억한다'가 적힌 팻말을 들고,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하기도 했다.
배경훈 과기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는 약 5분 만에 개의 절차가 중단됐다. 과방위 소속 국민의힘 위원들이 노트북에 '최민희 독재 아웃, 이재명 협치하라'는 문구가 적힌 팻말을 붙이자 의원들 사이에서 고성이 오갔고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곧바로 산회를 선포했다. 산회 선포는 개의 전에 이뤄져 무효였지만 청문회는 잠시 멈췄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와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비교적 여야 간 충돌 없이 전개됐다. 민주당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아주경제에 "진성준 정책위의장이 최근 언론에서 '각 후보자의 논란에 대한 해명을 듣고 심각하게 고려할 수 있다'고 한 건 원론적인 이야기"라며 "최대한 엄호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와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 청문회 주목
15일에는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열린다.
가장 주목할 청문회는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와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 인사청문회로 보인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무자격 오적을 즉각 임명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권 후보자는 송 비대위원장이 말한 '무자격 오적' 중 한 명이다.
권 후보자는 2023년과 2024년 각각 5곳, 4곳 업체서 일하고 총 7000만∼8000만원의 급여를 받은 것과 관련해 '허위 근무' 의혹,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2021년 대법원에서 징역형 집행유예 판결이 확정돼 선거비용을 반환해야 하지만 현재까지 미납됐다는 의혹도 나온다. 그외에도 논문표절 의혹 등이 있다.
임 후보자는 세금 탈루 의혹과 함께 전관 특혜 논란도 제기됐다. 그는 국세청 퇴직 후 2년간 세무법인에서 고문으로 재직하며 고액의 자문료를 받은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 임 후보자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 질의 답변서에서 "매출은 기존부터 세무 업계에서 활동하며 전문성을 쌓은 회계사와 세무사 등 약 20명의 전문가와 함께 이룬 매출의 합계"라며 "전관예우 등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