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알래스카 LNG 사업은 북극권 동토지대인 알래스카 노스슬로프 지역에서 천연가스를 채굴, 약 1300㎞ 길이의 가스관을 통해 앵커리지 인근 니키스키 항으로 운반·액화한 뒤 아시아 수요국에 공급하는 초대형 에너지 프로젝트다.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부터 강조해 온 숙원 사업이기도 하다. 사업비는 약 450억달러(64조원)로 추산된다.
다만 국내 기업들은 미국 측이 제안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의 경제성이 높지 않다고 우려를 표하고 있다. 공사비만 최소 450억 달러(약 65조원) 이상 들고, 혹한의 날씨와 복잡한 지형 등으로 공사 여건도 까다로워 사업성이 좋지 않아서다.
실제 트럼프 행정부 1기 당시 글로벌 석유·가스 기업인 엑손모빌, 브리티시페트롤륨(BP), 코노코필립스도 해당 사업에 뛰어들었다가 사업성이 부족해 2016년 철수한 바 있다. 2017년 중국도 알래스카주와 약 430억 달러 규모의 LNG 공동개발 협정을 체결했지만 같은 이유로 참여를 접었다.
국내에서 LNG를 직수입하는 △SK이노베이션 △포스코인터내셔널 △GS칼텍스 등이 해당 사업 참여를 꺼리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SK이노베이션의 경우 그룹 리밸런싱(자산 재조정)으로 LNG 사업 투자에 대한 재무적 여력이 없고, GS칼텍스는 이미 대주주인 셰브론 등과 함께 중동에 고정된 LNG 수입원을 확보한 상황이다.
다만 철강 및 조선업계에는 해당 프로젝트로 인한 수주 확대가 기대된다. 석유·가스 수송 시 강관과 밸브, 운송선 등이 필수적인 만큼 세아제강·동국제강 등 국내 철강기업들은 강관 수요 증가를,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은 북극해 운항에 적합한 쇄빙 LNG 운반선 건조 수주 확대가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산업과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높은 개발 비용과 한·미 정권 교체에 따라 LNG 정책이 변할 경우, 사업이 중단돼 투자비를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신현돈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현재 알래스카 LNG 사업은 극지방의 기후 환경문제 등으로 인해 천연가스 수요 감소 가능성까지 존재해 타 에너지 사업 대비 불확실성이 크다"며 "알래스카 LNG프로젝트 참여가 불가피하다면 전략적으로 'LNG 구매'를 우선 협상 논제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