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금년도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2월 중 확정·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 회의)를 열고 "가계부채 비율이 국가경제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고 평가되는 80% 수준까지 안정화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2025년 3.8%) 범위 내에서 일관성 있게 관리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가계부채 비율이 2022년 이후 3년 연속 하락해 코로나 이전 수준(2019년 89.6%)에 근접한 90%대 초반(90.5% 내외, 4월 확정)으로 예상되는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최근 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다시 증가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한은, 국제결제은행(BIS) 등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 수준을 초과할 경우 성장흐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증대되는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앞서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비율은 2004년 이후 17년 연속 증가했고 특히 코로나 기간(2020~2021년) 급증해 2021년 말 98.7%까지 치솟으며 우리 경제의 잠재 리스크로 지적되기도 했다.
한편 최 권한대행은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이나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높은 경계의식을 갖고 관계기관 합동 24시간 점검체계를 유지할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