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대통령경호처를 동원해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로 추가 입건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21일 경찰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특수공무집행 방해 혐의로 입건됐다. 다만 해당 혐의로 인해 피의자로 입건돼도 현직 대통령 신분상 형사 소추되지 않는다.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은 윤 대통령이 체포영장 집행 저지와 관련해 경호처 내 '강경파'로 알려진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나눈 문자메시지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달 3일 1차 체포영장 집행 당시 윤 대통령과 김 차장은 암호화된 메신저로 보안성이 높은 편으로 알려진 미국 메신저 '시그널'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은 사실이 확인됐다.
4일 뒤인 지난 1월 7일에도 메시지가 오간 사실이 전해졌다. 해당 메시지에서 윤 대통령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경호처)의 2차 체포 시도가 이뤄질 경우 경호처가 적극적으로 나서라는 취지의 지시를 내린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지시를 받은 김 차장은 이후 경호처 직원들에게 체포 저지 지시를 하달했지만, 지난 1월 15일 경호처 직원들은 이에 응하지 않으며 윤 대통령은 체포됐다.
한편 경찰 관계자는 메시지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