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급감했던 외국인 직접 투자가 2분기에 되살아나고 있다.
2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상반기 정부에 신고된 외국인 직접투자 규모는 총 46억4400만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의 45억4800만 달러보다 2.1% 증가했다.
특히 1분기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38.2% 감소했지만 2분기 들어 동기 대비 62.0% 증가한 것이다.
이에 대해 지경부는 경제위기로 관망세에 있던 외국인 투자가 회복세로 돌아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분야 외국인 직접투자가 16억6800만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고, 서비스업은 29억5200만 달러로 4.6% 늘었다.
제조업의 경우 전기·전자 분야에 대한 투자가 8억6000만 달러로 31.9% 증가했다. 서비스업에서는 유통 분야에 대한 투자가 12억5700만 달러로 525.4%나 급증했다.
형태별로는 기존 기업과 설비를 사들이는 인수·합병(M&A)형 투자가 15억5000만 달러로 17.4% 증가한 반면 새로운 설비 건설 등에 나서는 그린필드형 투자는 30억9500만 달러로 4.1% 감소했다.
M&A형 투자의 경우 금융위기 영향으로 1분기 급감했지만 2분기 대형 M&A 매물이 잇따라 증가하며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일본으로부터 투자가 동기 대비 82.6% 증가한 11억7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및 유럽연합(EU)으로부터의 투자는 각각 12.8%와 16.2% 감소한 6억500만 달러, 18억 달러에 그쳤다.
올해 1분기 도착 기준 외국인 직접투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8% 감소한 9억2000만 달러에 머물렀다.
이동근 무역투자 실장은 "금년 외국인 투자 목표치인 125억 달러 달성이 전망된다"며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중화권과 중동 지역의 투자를 적극 유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