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2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도로 통행이 통제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금융당국과 업계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은 비상대응 체계를 가동하면서 시장 관찰을 강화했고, 금융사들은 선고일인 4일 일부 점포 휴점을 결정하거나 연차 사용·재택근무를 권장하는 등 영업점·임직원 안전 확보에 나섰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4일 탄핵심판 전후로 시장 변화를 예의 주시하는 등 비상대응 체계를 유지한다. 이에 더해 선고일에는 정부 지침에 따라 외출을 자제하고 외부인이 참석하는 회의도 지양한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참석할 예정이던 ‘핀테크 오픈 네트워킹 데이’ 행사도 다음주로 연기됐다.
금융위원회는 최종 선고 전후로 시장 관찰을 강화하고 필요한 경우 간부회의를 열어 상황을 점검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은 선고를 하루 앞둔 이날부터 ‘24시간 비상대응 체계’를 가동키로 했다.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와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겹치면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금융권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광화문 인근 점포를 위주로 임직원 안전 확보방안을 마련하고 나섰다. 주요 시중은행은 4일 헌법재판소 인근 영업점의 문을 임시로 닫는다. 신한은행은 현대 계동 지점·현대 계동 대기업금융센터, 하나은행은 안국동 지점·계동 지점, 우리은행은 안국역 지점 등을 임시 휴점한다. 각 은행은 고객에게 대체 영업점을 안내하고, 휴점 점포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은 대체 근무지로 출근할 예정이다.
KB국민은행은 헌법재판소 인근에 영업점이 없지만 광화문·여의도 일대 지점에서 소화기·비상벨 등 안전장치를 점검하고, 당일에는 본점 직원을 파견하기로 했다. NH농협은행은 감사원 지점의 단축 근무를 검토하는 등 탄력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SC제일은행은 본점 임직원에게 자율적 재택근무를 권고하고, 광화문 인근 영업점 보호를 위한 다각적인 검토에 나섰다.
광화문 인근에 본사을 둔 보험사들도 임직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연차 사용을 권장하거나 재택근무를 지시했다. 교보생명과 현대해상은 필수인력을 제외한 인원에게 연차 사용을 권고했다. 특별한 업무가 있더라도 가급적 집에서 근무하도록 지침을 내렸다. 헌법재판소와 인접한 코리안리도 임직원 재택근무 방침을 정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당시에도 광화문에서 시위가 격화해 사망자가 발생한 사례가 있다”며 “이번에도 결과에 상관없이 시위가 과격해질 가능성이 있고, 교통 혼잡도 예상돼 임직원 안전 등을 위한 조치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4일 탄핵심판 전후로 시장 변화를 예의 주시하는 등 비상대응 체계를 유지한다. 이에 더해 선고일에는 정부 지침에 따라 외출을 자제하고 외부인이 참석하는 회의도 지양한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참석할 예정이던 ‘핀테크 오픈 네트워킹 데이’ 행사도 다음주로 연기됐다.
금융위원회는 최종 선고 전후로 시장 관찰을 강화하고 필요한 경우 간부회의를 열어 상황을 점검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은 선고를 하루 앞둔 이날부터 ‘24시간 비상대응 체계’를 가동키로 했다.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와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겹치면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금융권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광화문 인근 점포를 위주로 임직원 안전 확보방안을 마련하고 나섰다. 주요 시중은행은 4일 헌법재판소 인근 영업점의 문을 임시로 닫는다. 신한은행은 현대 계동 지점·현대 계동 대기업금융센터, 하나은행은 안국동 지점·계동 지점, 우리은행은 안국역 지점 등을 임시 휴점한다. 각 은행은 고객에게 대체 영업점을 안내하고, 휴점 점포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은 대체 근무지로 출근할 예정이다.
광화문 인근에 본사을 둔 보험사들도 임직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연차 사용을 권장하거나 재택근무를 지시했다. 교보생명과 현대해상은 필수인력을 제외한 인원에게 연차 사용을 권고했다. 특별한 업무가 있더라도 가급적 집에서 근무하도록 지침을 내렸다. 헌법재판소와 인접한 코리안리도 임직원 재택근무 방침을 정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당시에도 광화문에서 시위가 격화해 사망자가 발생한 사례가 있다”며 “이번에도 결과에 상관없이 시위가 과격해질 가능성이 있고, 교통 혼잡도 예상돼 임직원 안전 등을 위한 조치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