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종인 연구원은 "아직 불확실한 변수가 많지만 LG유플러스의 mVoIP 전면 허용은 음성통화 매출이 줄고 이용자가 싼 요금제로 낮추어 가입할 유인이 생기며, 망 중립성 논의시 논리가 다소 약화된다는 점에서 이동통신산업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특히 이같은 LG유플러스의 mVoIP 허용은 자사 LTE 가입자 유치에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경쟁사 대응 등 환경적요인에 따라 LG유플러스에게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양 연구원은 "mVoIP의 성공여부는 통화품질, 경쟁사의 대응, 정부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현재 통화품질은 열위이나 기술 진화시 개선될 것이고 3분기 이동통신업체의 VoLTE 출시를 앞두고 정부가 인터넷전화의 요금, 접속료 조정 등에 따라 시장성은 달라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에 따라 통신업계의 2분기 실적이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으며, mVoIP 허용이슈가 부각돼 주가상승 모멘텀이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