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것은 결국 정부의 결단력과 혁신에 대한 투자에 달려 있다."
여수국가산업단지가 글로벌 경제 변화와 정책 대응 지연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과 원자재 비용 증가로 기업들의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의 신속한 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8일 한문선 여수상공회의소 회장은 "여수국가산단의 위기는 단순한 산업 구조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는 글로벌 경제 변화에 대한 대응력 부족과 정부의 정책 지원 및 혁신 지연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진단했다.
특히 그는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기업 부담 증가를 지적했다. 한 회장은 "지난해 10월 산업용 전기요금이 kWh당 182.7원으로 10.2%(16.9원) 인상되면서, 여수산단 내 주요 10개 기업이 연간 1700억원의 추가 비용을 부담하게 됐다"며 "전기요금 인상분을 안정화될 때까지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회장은 전기요금 문제뿐만 아니라 원자재 비용 절감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도 요구했다.
그는 "생산원료용 액화천연가스(LNG)에 대한 석유수입부과금 면제와 석유화학의 핵심 기초 원료인 나프타의 관세 면제 기한을 올해 연말까지 연장할 것이 아니라, 여수산단이 안정화될 때까지 무기한 연장하는 등 탄력적인 정책 운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 회장은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것은 결국 정부의 결단력과 혁신에 대한 투자에 달려 있다"며 "친환경, 디지털, 바이오 등 미래 산업으로의 전환을 통해 여수국가산단이 다시 국가 경제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말 관계 부처 합동으로 산업위기 대응 지원책을 발표하고 올해 상반기까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요건을 현실화한 후 지역 경제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곳을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여수국가산단이 이번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해선 정부의 신속한 정책 지원과 산업 전환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