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정부 관계자는 “해외 주재관의 청렴도와 도덕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선발제도를 보완할 계획”이라며 “외교통상부와 국민권익위원회가 청렴서약서 작성 등 다양한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이른바 '상하이 스캔들'을 계기로 해외주재관 비리 연루 사고를 끊기 위한 방안인 것으로 풀이된다.
외교부는 이번 파문이 불거진 뒤 전 재외공관을 상대로 강도 높은 복무점검을 실시했지만 주재관의 경우 관리가 쉽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청렴서약은 자정 분위기를 강화하는 취지이고 해외 주재원의 비리를 예방할 직접적인 수단이 아니라는 점에서 실효성은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정부 관계자는 “도덕성은 추상적 개념이기 때문에 면접시 평가하기 어렵다”며 “해외 주재관의 도덕성을 높일 근원적인 대책이 있는지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해외 주재관 선발 시 중국어, 러시아어, 불어 등 유엔이 지정한 공용어를 쓰는 국가에서 근무할 경우 영어 외에 현지어 능력에 대한 평가를 강화하는 방안도 신중히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외교부 산하 외교안보연구원은 주재관을 상대로 공직가치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