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관은 최근의 경기회복과 아울러 전자상거래물품의 반입이 178%(수입신고 기준) 증가를 증가세의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했다.
1분기 특송물품의 국가별 반입 현황을 보면 상업 견품류의 반입이 많은 중국이 56%를 차지했으며, 미국.홍콩.베트남이 그 뒤를 이었다.
반입량이 가장 크게 증가한 전자상거래물품의 경우 미국이 74%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일반 특송물품은 의류, 직물류가 대부분을 차지했고, 전자상거래물품은 건강기능식품의 수입 비율이 54%로 가장 높았다.
특송통관 제도에 편승해 마약류, 위조제품, 자가사용 위장 전자상거래 물품 등 불법물품의 반입시도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김포세관은 올해 필로폰 6.75g, 타인명의 도용 상용 어그부츠 114건 분산 반입, 위조 아이폰용 부분품 및 소니 블루투스 헤드셋 등 불법물품을 적발했고,1월부터는 별도의 특송정보분석팀을 구성해 정상물품은 신속히 통관하고, 위험물품에 대해서는 심사 및 검사를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검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최첨단 시설의 특송검사장을 수억원의 예산을 들여 다음 달 완공을 목표로 공사 중이다.
김포세관 관계자는 인터넷으로 위해성분이 함유된 화장품 및 식품류를 구입하지 않도록 일반국민들의 세심한 주의를 당부하고, 세관 조직과 특송물품 검사시설 정비를 통해 불법물품 반입 단속활동을 강화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