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성호 대표이사는 5일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개최된 주주총회에서 임기 3년의 대표이사로 재선임된 이후 실시한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의 경영 방침에 대해 “지금 금융투자업계는 과거에 갖고 있던 사업 모델과 미래의 사업 모델이 교차되는 시점”이라며 “잘 대응해서 새로운 산업으로 성장해 나가지 않으면 미래가 보장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황성호 대표이사는 “우리 회사의 가장 큰 화두는 앞으로 있을 미래형 사업모델을 어떻게 구축하느냐이다”라며 “주식시장이 올라야지만 (주식) 가격이 상승해 돈을 버는 한 방향의 사업모델로선 한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황 대표이사는 “주식매수만 하는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상품을 제시하고 투자도 하고 고객들과 같이 성장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리테일 사업조직을 강화할 것이다. 컨설팅 능력과 상품판매 능력을 키울 것"이라며 "그리고 상품부문에 획기적 투자를 할 것이다. 헤지펀드, 프라임브로커서비스, 트레이딩 사업부문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것이다. 최근 유전펀드 구조화에 성공했는데 이런 역량을 계속적으로 키워 자본효율을 높여갈 것"이라고 밝혔다.
황 대표이사는 해외 법인에 대한 적극적 인수 의사를 내비쳤다.
그는 “증권사업 역량 강화를 위해 해외 우수 운용사 인수를 마다하지 않겠다”며 “투자은행(IB)과 에쿼티, 헤지펀드, 트레이딩 사업 부분에서 우수한 상품을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면 해외 금융사 인수를 적극 추진하겠다”며 조건에 맞는 회사가 나온다면 국외에 합작 회사를 세울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우리투자증권은 현재 프랑스 헤지펀드 전문 운용사인 ‘뉴알파’의 헤지펀드 상품에 투자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해외투자에 대해선 "IMF시절 해외기업이 우리나라에 투자해 성공했다"며 "우리 역시 현재 고민 중에 있다. 완전 기회라고 생각될 때까지 기다릴 것이다. 그 시점은 유럽위기가 어느정도 진정된 시점"이라고 밝혔다.
그는 "(주식투자에 있어)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동시에 이 둘을 추구하는 것은 쉽지 않다"며 "리스크 대비 리턴을 가장 극대화할 수 있는 상품 포트폴리오를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