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은 불체포특권 포기, 연금제도 개선, 의원 겸직 금지, 무노동 무임금 적용, 윤리위 강화, 국회폭력 처벌 강화 등의 쇄신안을 놓고 집중 토론을 벌인 끝에 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결의문을 발표했다.
또 ‘경제민주화’와 관련해 ‘자유시장경제(헌법 119조 1항)가 원칙이고 경제민주화(2항)는 보완적 성격’이라는데 합의했다.
홍일표 원내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갖고 지난 8일 밤 실시된 의원들의 분임토의 결과를 발표했다.
분과별 분임토의 주제는 ▲청년 ▲보육·교육 ▲주거 ▲일자리 ▲건강 ▲사회·문화 ▲경제민주화·신뢰정치 ▲지역균형발전 ▲외교·통일·안보 등 9개였다.
홍 대변인은 “각 주제별로 4·11총선 공약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을지 논의했다”면서 “청년분과에서는 청년창업과 스펙초월 취업시스템 도입, 보육분과중에서는 이미 제출한 영유아보호법 및 사립학교법을 잘 통과시키고 대학 등록금 부담 완화를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만들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경제민주화와 관련해선 “지금 시점에서 경제민주화 기조를 어떻게 잡느냐 하는 것이 굉장히 민감하기 때문에 여론조사와 다양한 검토가 필요하다”면서도 “공정경쟁 추진과 경제력 집중의 남용을 막는 입장에서 경제민주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한편 당내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오픈프라이머리(국민참여경선)와 관련해서 5명이 거론이 거론하고 그 중 3명이 도입을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