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본부장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해 中·日과 양자 소통 강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예지 기자
입력 2025-02-14 0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제1차 동북아 정책포럼 개최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3동 산업통상자원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3동 산업통상자원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에 따른 대외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산업부는 14일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2025 제1차 동북아 정책포럼'을 열고 중국·일본 지역·경제 전문가들과 변화하는 미국 신행정부 출범에 따라 변화하는 글로벌 경제·통상 환경에 대한 영향과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미국의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 미국 에너지 등에 대한 중국의 보복 관세 부과, 미·일 정상회담에 따른 일본의 대미 투자와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 발표 등 글로벌 통상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미국의 경제·통상 정책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 동향을 점검하고 향후 우리의 대응방안을 종합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다.

이번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미국의 정책에 따른 중·일의 대응에 대해 논의했고 우리 통상당국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청했다. 특히 미·중·일 3개국과의 적극적인 협의를 통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와 안정적 공급망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산업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반영해 급변하는 통상환경 변화에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우리 기업들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계속 이어나갈 예정이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번 간담회에서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해 중국·일본과 양자 소통을 지속하는 한편 한·미·일, 한·일·중 등 소다자 및 세계무역기구(WTO),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다자 체제를 활용한 협력을 진행해 우리 기업의 안정적 비즈니스 환경 조성을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