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오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 사진한국섬유산업연합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7/20250217162401505496.jpg)
미국의 ‘Made in USA’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미국은 1941년 2차 세계대전 초기에 베리 수정안(Berry Amendment)을 제정해 군용 식량, 텐트, 섬유제품 등 군용 물자는 원료부터 완제품까지 미국산으로 조달해야 한다는 규정을 도입했으며, 현재까지 관련 내용을 국방수권법(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을 통해 유지하고 있다.
일본 역시 ‘방위생산 기반 강화법’을 통해 군용 물자의 국내 개발 및 생산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군수품 조달 시 자국 내 생산을 원칙으로 하며, 섬유·피복류의 경우 구매 요구서에 원단부터 자국 내 생산을 명시하고 있다.
최근 한국의 방위산업은 해외에서 뛰어난 성능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K-9 자주포, K-2 전차, 미사일 등 첨단 무기는 폴란드, 루마니아, 이라크 등을 포함한 해외 시장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 400억 달러 규모의 수출을 기록했다.
군수 물자는 유사시 원활한 공급이 최우선돼야 한다. 하지만 현재 우리 군의 피복류는 원사부터 원단, 염색, 가공 등 여러 공정에서 해외 생산에 의존하고 있다. 국제 분쟁이나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발생할 경우, 군의 전력 유지에 심각한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우리나라에서도 국방섬유의 국산화를 위한 다방면의 노력이 있었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원사·직물 등 국내 섬유업계의 의견을 모아 국방섬유 중 가장 대표적 품목인 전투복의 국산화를 추진했다. 오랜 기간 정부의 문을 두드린 결과, 2021년 국무총리실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전투복 소재 국산화 시범사업'을 통해, 전투복의 원사, 원단 등의 소재는 국내산을 우선 사용하도록 제도를 마련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이후에는 전투복 이외에 다른 품목에도 국산화를 확대시키기 위해 방위사업법 법률 개정을 추진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울러 국방섬유 국산화의 필요성을 국회에 전달하며 예산증액을 건의했고, 국회 여야 의원들은 모두 국산화 관련 예산 확대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제는 정부가 답을 할 차례다. 정부가 ‘K-국방섬유’를 추진하면 그 효과는 단순히 국가 안보를 넘어 섬유산업과 경제 전반에 걸쳐 큰 파급력을 미칠 것이다. 국제정세가 요동치며 국가간 공급망이 불안한 지금, 이제는 정부와 산업계가 긴밀히 협력하여 국방섬유의 국산화에 앞장서야 할 때다.
우리 땅을 수호하는 우리 군인이 입는 군복이 태극기만 달린 수입산 군복이 아니라 국산 섬유 소재로 만들어져 섬유업계와 장병 모두에게 자부심의 상징이 되길 바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