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현지시간) 로이터, AP통신 등에 따르면 워싱턴DC 연방지방법원 칼 니컬스 판사는 이날 “국제개발처(USAID) 직원 해고와 연계되는 트럼프 행정부 구조조정 방안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라”는 기존 결정을 해제했다.
지난 7일 USAID 직원 중 2200명을 유급 행정휴가 처리하고, 해외 파견 직원 대부분을 한 달 내에 국내로 소환하겠다는 정부 계획에 내린 일시 중단 명령을 해제한 것이다.
니컬스 판사는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직원 노조가 정부 계획이 실제 실행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증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위험 지역 파견자들이 휴직 처분을 받은 후 비상 연락 수단을 확보하지 못한 채 해외에 남겨진 것이 매우 우려스러웠다고 했다. 하지만 적절한 통신 수단을 통해 국가의 보호를 받을 것이라는 정부의 설명에 납득이 됐다고 설명했다.
니컬스 판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2019년 1기 행정부 당시 임명한 연방판사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출 감축 등을 이유로 USAID를 사실상 폐지하는 수준에 버금가는 구조조정에 착수한 상태다. 전체 1만여 명의 직원 중 보건 부문과 인도적 지원 분야의 핵심 인력 290명만 남기고 모두 해고한 후 국무부 산하로 통합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미국 내 최대 공무원 노동조합인 연방공무원노조(AFGE) 등은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의회에서 의결된 법률로 설립된 USAID를 해체할 권한이 없다”며 정부를 상대로 예산 복구, 사무 재개, 추가 기관해체 명령 차단 등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한편, USAID는 1961년 존 F 케네디 대통령 때 개도국 원조 확대와 소련 영향력 차단을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전체 직원 1만명에 연간 예산이 428억 달러(약 62조4000억원)에 이르는 세계 최대 개발협력 기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쪽빠리놈들 침략근성을 못버리는구나
하와이는 미국땅 대마도는 몰라도 독도는 우리대한민국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