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에너지솔루션 인터배터리 2025 부스 조감도 [사진=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가 다음달 5~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 배터리 산업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InterBattery) 2025’에 참가한다. 이들 기업은 해당 행사를 통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을 극복할 다양한 미래 배터리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23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인터배터리에서 참가 기업 중 가장 큰 540m² 규모의 전시장을 구성해 다양한 혁신 배터리 솔루션을 선보인다.
전시장은 △히어로(Hero) 배터리 솔루션 △EV 배터리 솔루션 △Non-EV 배터리 솔루션 △미래 준비 △지속가능성 등 총 5개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특히 배터리 솔루션 존은 46시리즈 라인업과 원통형 배터리 성능을 더욱 극대화하고 안전성을 강화한 배터리 모듈·팩 솔루션 CAS(Cell Array Structure)를 전시한다.
이외에도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 팩을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주행거리를 극대화한 앱테라 모터스의 새로운 형태 모빌리티 제품을 한국에 처음 공개한다. 이 제품은 미래지향적 디자인 등으로 차세대 모빌리티 대표 차량으로 꼽히며 미국 유명 SF영화에 등장하기도 한 제품이다.
삼성SDI는 최근 상품화 적용 검토를 완료한 '열전파 차단(No TP)' 기술을 비롯해 전고체 배터리(ASB), 셀투팩(Cell to Pack) 제품 등을 선보인다.
No TP는 배터리 제품의 특정 셀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셀과 셀 사이에 적용된 안전 소재 등에 의해 다른 셀로 열이 전파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아주는 기술이다.
삼성SDI는 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화재 위험성이 낮고 주행거리가 길어 업계에서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 현황도 소개할 예정이다. 또 실물 크기 차량 하부구조 목업에 탑 터미널 각형 배터리와 사이드 터미널 각형 배터리를 탑재한 셀투팩 콘셉트 제품도 전시회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SK온은 파우치형, 각형, 원통형 등 3대 폼팩터를 모두 전시하며, 다양한 고객 수요를 공략한다. 특히 SK온은 원통형 실물 모형을 처음으로 공개한다. SK온은 작년 하반기 원통형 파일럿 라인을 준공하며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각형 배터리는 양방향에 이어 단방향 모델을 추가해 올해 전시한다. 각형 배터리에 적용된 Z-폴딩 스태킹 기술 및 급속충전 솔루션도 소개된다.
저가 공세로 글로벌 시장에서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 배터리 기업들도 해당 행사에 대거 참가한다. 올해 행사에 참가하는 해외 기업 130개 중 중국 기업은 무려 79개다.
올해 행사에는 세계 1위 전기차 기업이자 배터리 기업인 중국 BYD(비야디)와 배터리 시장 점유율 4위인 이브(EVE)가 첫 출사표를 던졌다. 특히 비야디는 전기차와 배터리 사업을 모두 갖고 있는 만큼 무서운 속도로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올해 인터배터리 행사에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대거 참가하며 행사 규모가 더욱 커졌다"며 "비야디 등 중국 차세대 배터리 기업들의 솔루션을 직접 경험하며,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인터배터리에서 참가 기업 중 가장 큰 540m² 규모의 전시장을 구성해 다양한 혁신 배터리 솔루션을 선보인다.
전시장은 △히어로(Hero) 배터리 솔루션 △EV 배터리 솔루션 △Non-EV 배터리 솔루션 △미래 준비 △지속가능성 등 총 5개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특히 배터리 솔루션 존은 46시리즈 라인업과 원통형 배터리 성능을 더욱 극대화하고 안전성을 강화한 배터리 모듈·팩 솔루션 CAS(Cell Array Structure)를 전시한다.
삼성SDI는 최근 상품화 적용 검토를 완료한 '열전파 차단(No TP)' 기술을 비롯해 전고체 배터리(ASB), 셀투팩(Cell to Pack) 제품 등을 선보인다.
No TP는 배터리 제품의 특정 셀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셀과 셀 사이에 적용된 안전 소재 등에 의해 다른 셀로 열이 전파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아주는 기술이다.
삼성SDI는 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화재 위험성이 낮고 주행거리가 길어 업계에서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 현황도 소개할 예정이다. 또 실물 크기 차량 하부구조 목업에 탑 터미널 각형 배터리와 사이드 터미널 각형 배터리를 탑재한 셀투팩 콘셉트 제품도 전시회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SK온은 파우치형, 각형, 원통형 등 3대 폼팩터를 모두 전시하며, 다양한 고객 수요를 공략한다. 특히 SK온은 원통형 실물 모형을 처음으로 공개한다. SK온은 작년 하반기 원통형 파일럿 라인을 준공하며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각형 배터리는 양방향에 이어 단방향 모델을 추가해 올해 전시한다. 각형 배터리에 적용된 Z-폴딩 스태킹 기술 및 급속충전 솔루션도 소개된다.
저가 공세로 글로벌 시장에서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 배터리 기업들도 해당 행사에 대거 참가한다. 올해 행사에 참가하는 해외 기업 130개 중 중국 기업은 무려 79개다.
올해 행사에는 세계 1위 전기차 기업이자 배터리 기업인 중국 BYD(비야디)와 배터리 시장 점유율 4위인 이브(EVE)가 첫 출사표를 던졌다. 특히 비야디는 전기차와 배터리 사업을 모두 갖고 있는 만큼 무서운 속도로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올해 인터배터리 행사에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대거 참가하며 행사 규모가 더욱 커졌다"며 "비야디 등 중국 차세대 배터리 기업들의 솔루션을 직접 경험하며,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