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중고 49곳 폐교...'1학년 없는' 초등학교 속출 전망

  • 지방이 88%…초등학교만 38곳 예정

  • 작년 입학생 없던 전국 초교 112곳

이미지 확대
2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폐교 현황'에 따르면 올해 폐교 예정인 초·중·고교는 49곳이다. 사진은 폐교한 학교 모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폐교 현황'에 따르면 올해 폐교 예정인 초·중·고교는 49곳이다. 사진은 폐교한 학교 모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저출생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로 올해 문을 닫을 예정인 초·중·고교가 전국에 총 49곳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지방 학교가 43곳으로 전체 중 88%에 달했다.

2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폐교 현황'에 따르면 올해 폐교 예정인 초·중·고교는 49곳이다.

이는 지난 5년간 각 시도교육청이 매년 취합한 폐교 수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다. 2020년 총 33곳이던 폐교는 2021년 24곳, 2022년 25곳, 2023년 22곳으로 주춤하다 지난해 33곳으로 급증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은 한 곳도 없었고, 경기에선 6곳이 폐교 예정인 것으로 집계됐다. 

디지털캠프광고로고

최다 폐교 예정지는 전남(10곳)이었고, 그다음으로 충남(9곳), 전북(8곳), 강원(7곳) 순이었다. 특별·광역시 중에서는 부산(2곳)과 대구(1곳)가 포함됐다.

학교급별로 보면 폐교 예정 49곳 중 초등학교가 38곳으로 파악됐다. 중학교는 8곳, 고등학교는 3곳이다.

초등학교 입학 일자가 다가오는 가운데 지난해 입학생이 없었던 전국 초등학교는 총 112곳(휴교·폐교 제외)으로 집계됐다.

작년 4월 기준 '신입생 없는 초등학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북이 34곳으로 가장 많았다. 경북(17곳), 경남(16곳), 전남·충남(각 12곳), 강원(11곳)이 뒤를 이었다.

올해는 신입생을 받지 못하는 초등학교 수는 더 증가할 전망이다.

각 시도교육청이 이번 달 초·중순 취합한 현황을 보면 경북만 무려 42곳에서 입학생을 받지 못할 것으로 추정됐다.

전남 32곳, 전북 25곳, 경남 26곳, 강원 21곳 등 올해도 주로 지방에서 '1학년 없는 초등학교'가 속출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