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영규 기획재정부 대변인은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전날 발표된 10조원 규모의 필수 추경과 관련해 "추경 목적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산불로 인한 급한 것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시급한 현안 과제 해결에 신속하게 집행 가능한 사업만을 포함한 10조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추진하고자 한다"며 "여야 간 이견이 없는 재난·재해 대응, 통상·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등 3대 분야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강 대변인은 "추경의 목적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산불 복구뿐만 아니라 통상 문제가 현안으로 다가온 만큼 경제 주체들을 안심시켜야 하는 측면이 있다"며 "민생도 챙겨야 하다 보니 추경안을 만들어서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야 이견이 심한 사업을 제외하고 긴급하고 신속한 집행이 필요한 부분을 10조원으로 추산한 것"이라며 "재해재난 비중은 꽤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산불 대응 추경안 규모에 대해서는 "피해 규모를 산정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만큼 명확하게 말할 수는 없다"며 "다만 2022년 동해안 산불보다는 피해 면적이 큰 만큼 당시 예산(4000억원)보다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예비비 증액 가능성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말하기는 어렵다"며 "각 부처의 재해복구비가 있고 목적예비비를 사용하게 될 듯한데 그 단계에서 어디에 재원이 투입될지는 실제 피해금액을 산정한 뒤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추경의 재정승수(정부 지출로 발생하는 국민소득 변화 비율)에 대해서는 "한국은행에서 20조원 추경을 했을 때 0.2%포인트를 추산한 만큼 단순 비교하면 10조원 추경했을 때 0.1%포인트 상방 요인이 될 수 있지만 기재부의 공식 입장은 아니다"라며 "실제 재정 투입 시점 등에 따라 숫자가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추경 타임라인과 관련해서는 "명확하게 말하기는 어렵지만 여야가 동의하면 관계 부처 협의 후 빠르게 추경안을 제출할 것"이라며 "사업 자체가 많지 않으면 심의 자체가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여야 동의 여부에 대해서는 "4월 중 추경안을 통과하자는 동의가 이뤄지면 추경안을 만들겠다는 의미다. 규모도 정치적인 이슈가 적은 것이 10조원가량이라는 것"이라며 "10조원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정부 추산은 이 정도(10조원)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