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 트럼프, 4월초 비관세 장벽 반영 상호관세 시행…무역흑자 8위 韓도 영향권
    [종합] 트럼프, 4월초 '비관세 장벽 반영' 상호관세 시행…'무역흑자 8위' 韓도 영향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각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두루 고려해 이르면 4월초 맞춤형 상호관세를 세계 각국에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한국도 '상호관세' 부과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가별로 맞춤형 상호관세 부과..."모두에게 공정할 것"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1시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관세 부과 결정이 담긴 대통령 각서에 서명하면서 "나는 '공정성'을 위해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 2025-02-14
    • 08:53:25
  • [뉴욕증시 마감] 상호관세 협상 여지에 상승...테슬라 5%↑
    [뉴욕증시 마감] 상호관세 협상 여지에 상승...테슬라 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계획이 발표됐지만 협상의 여지가 있다는 기대가 나오면서 뉴욕증시 3대 주가 지수가 동반 강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42.87포인트(0.77%) 오른 4만4711.4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63.10포인트(1.04%) 오른 6115.0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95.69포인트(1.50%) 오른 1만9945.64에 각각 문을 닫았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 관세 부과 결정이 담
    • 2025-02-14
    • 08:16:27
  • 임기 초부터 인플레 위기 처한 트럼프노믹스
    임기 초부터 인플레 위기 처한 '트럼프노믹스'
    출범 후 한달도 채 안 된 트럼프 2기 정부가 인플레이션으로 경제 정책에 위기를 맞고 있다. 그럼에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관세 부과와 금리 인하를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경제 전망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미국 노동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 상승했다. 이는 로이터 예상치(2.9% 상승)를 넘어선 동시에 작년 6월 이후 7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선 것이다. 특히 조류 독감 여파에 계란 가격이 53%나 급등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 가격 변동성이 큰
    • 2025-02-13
    • 15:30:23
  • 美백악관 13일 모디 총리 방문 전에 상호관세 발표
    美백악관 "13일 모디 총리 방문 전에 상호관세 발표"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3일(현지시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방문하기 전에 '상호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상호 관세 일정 발표와 관련해 "모디 총리가 내일(13일) (백악관을) 방문하기 전에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모디 총리는 이날 미국에 도착해 13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백악관에서 열린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장 취임 선서식에서 '상호 관세
    • 2025-02-13
    • 15:21:23
  • [뉴욕증시 마감] 美소비자물가 상승에 혼조…테슬라 2.4%↑
    [뉴욕증시 마감] 美소비자물가 상승에 혼조…테슬라 2.4%↑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12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옷돌면서 투매 물량이 쏟아졌지만 저가 매수세가 낙폭을 빠르게 줄였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5.09포인트(-0.50%) 내린 4만4368.56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전장보다 16.53포인트(-0.27%) 내린 6051.97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6.09포인트(0.03%) 오른 1만9649.95에 장을 마쳤다. 1월 미
    • 2025-02-13
    • 08:25:54
  • 美의회, 한국 등 동맹국서 미 해군 함정 건조 허용 법안 발의
    美의회, 한국 등 동맹국서 '미 해군 함정 건조' 허용 법안 발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당선 직후 한국과의 조선업 협력을 언급한 가운데 미국 해군 함정 건조와 부품 조달을 한국 등 동맹국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법안이 미국 의회에서 발의됐다. 11일(현지시간) 미국 의회에 따르면 마이크 리(공화·유타)와 존 커티스(공화·유타) 상원의원은 지난 5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해군과 해안경비대의 준비 태세를 강화하기 위한 법안 2건을 발의했다.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이나 미국과 상호 방위조약
    • 2025-02-12
    • 16:46:02
  • 트럼프, 12일 상호 관세 발표 질문에 지켜보자
    트럼프, 12일 상호 관세 발표 질문에 "지켜보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예고했던 상대국의 관세율에 맞춰 부과하는 상호 관세를 발표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11일 AP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2일에 상호 관세와 관련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계획이냐는 질문에 "무슨 일이 있을지 지켜보자"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화요일(11일)이나 수요일(12일) 상호관세를 발표해 즉시 발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당시 "이제는 상호적이어야 할 때"라며 "여러분은 상호주의라는 단어를 많이 듣게 될 것이
    • 2025-02-12
    • 16:42:21
  • 日정부, 美에 철강·알루미늄 관세 조치 제외 요청
    日정부, 美에 철강·알루미늄 관세 조치 제외 요청
    일본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 조치에서 일본을 제외해달라고 요청했다. 12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에 따르면 무토 요지 경제산업상은 이날 각의 후 기자회견에서 철강·알루미늄 관세와 관련해 "미 정부에 조치 대상에서 일본 기업을 제외하도록 요청했다"고 말했다. 일본으로부터의 수출이 관세 대상이 되는 경우 일본무역보험(NEXI)의 보험금 지급 대상에 포함할 방침도 밝혔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집권 1기 때인 2018년에도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
    • 2025-02-12
    • 11:15:09
  • [뉴욕증시 마감] 3대 지수 혼조세…테슬라, 오픈AI 인수설에 6.3% 급락
    [뉴욕증시 마감] 3대 지수 혼조세…테슬라, 오픈AI 인수설에 6.3% 급락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11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금리 인하 기조를 소화하며 큰 폭의 움직임을 자제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3.24포인트(0.28%) 오른 4만4593.65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전장보다 2.06포인트(0.03%) 상승한 6068.50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
    • 2025-02-12
    • 08:28:59
  • 美 자동차업계, 3중 관세 리스크 직면…美 반도체업계도 관세 역풍 가능성
    美 자동차업계, '3중 관세' 리스크 직면…美 반도체업계도 관세 역풍 가능성
    '미국 우선주의'를 외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산업 보호 및 기업 유치를 위해 본격적으로 관세 칼날을 휘두르기 시작한 가운데 오히려 미국 산업과 소비자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가장 위험에 노출된 것은 자동차 산업이다. 이미 지난 4일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의 추가관세가 발효되면서 미국 자동차업체들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자동차 부품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게 됐다. 미국 대통령 직속 무역 조사 기관인 미국국제무역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수년간 미
    • 2025-02-11
    • 15:54:02
  • 美 3월 12일부터 한국 등에 25% 철강 관세 적용
    美 "3월 12일부터 한국 등에 25% 철강 관세 적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한국도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백악관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이 같은 내용의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각각의 포고문을 공개했다. 포고문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캐나다, 멕시코, 일본, 유럽연합(EU), 영국 등 집권 1기때 25% 관세 예외를 적용했던 국가들을 언급하며 기존 협정이 국가 안보 우려를 해소하는 데 효과적이고 장기적인 대안을 제
    • 2025-02-11
    • 14:47:37
  • 모디-트럼프 회담 앞둔 印 추가 관세 인하 검토 중
    모디-트럼프 회담 앞둔 印 "추가 관세 인하 검토 중"
    인도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회담을 앞두고 추가 관세 인하를 준비하고 있다고 10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로이터는 익명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잠재적인 무역 전쟁을 피하기 위해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와 함께 주요 품목 관세 인하 검토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전날 미 CNBC 방송 인터뷰에서 인도의 높은 관세가 수입을 막고 있다고 지적하며 “두 정상이 만날 때 모디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 2025-02-11
    • 14:11:13
  • [뉴욕증시 마감] 트럼프 관세 우려에도 3대 지수 상승…엔비디아 2.9%↑
    [뉴욕증시 마감] '트럼프 관세' 우려에도 3대 지수 상승…엔비디아 2.9%↑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가 10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철강 관세폭탄’ 위협에도 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강세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7.01포인트(0.38%) 오른 4만4470.41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0.45포인트(0.67%) 상승한 6066.44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0.87포인트(0.98%) 오른 1만9714.27에 장을 닫았다.
    • 2025-02-11
    • 08:21:47
  • 프랑스 마크롱, 트럼프 관세전선 EU 확대에 중국에 집중하라
    프랑스 마크롱, 트럼프 관세전선 EU 확대에 "중국에 집중하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관세를 부과하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중국에 집중하라"고 비판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공개된 미국 방송사 CNN과의 인터뷰에서 EU가 미국 관세 부과 조치의 최우선 순위가 돼선 안 된다며 이같이 발언했다. 그는 우선 "EU가 (미국의) 첫 번째 문제인지 묻고 싶다"고 말한 뒤 이어 "나는 그렇게 생각지 않는다"며 "첫 번째 문제는 중국이므로 그곳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크
    • 2025-02-10
    • 21:56:44
  • 트럼프, 인플레 우려 속 잇따라 관세 지연·축소…관세 동력 의구심도
    트럼프, 인플레 우려 속 잇따라 관세 지연·축소…관세 동력 의구심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각국을 상대로 거침없이 관세의 칼날을 휘두르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우려 속에 관세 조치가 모두 지연 및 축소 시행되고 있는 모습이다. 따라서 그의 관세 추진 동력에 대한 의구심도 제기되고 있다. 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CNBC 등 외신들에 따르면 트럼프는 지난 5일 중국으로부터 배송되는 소액 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적절한 시스템이 완비될 때까지" 일시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800달러(약 117만원) 이하의 소액 상품에 대한 과세를 면세하는
    • 2025-02-09
    • 15:29:33
페이지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