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의 식료품 매장사진AFP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3/20250213150817290334.jpg)
출범 후 한달도 채 안 된 트럼프 2기 정부가 인플레이션으로 경제 정책에 위기를 맞고 있다. 그럼에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관세 부과와 금리 인하를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경제 전망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미국 노동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 상승했다. 이는 로이터 예상치(2.9% 상승)를 넘어선 동시에 작년 6월 이후 7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선 것이다. 특히 조류 독감 여파에 계란 가격이 53%나 급등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 가격 변동성이 큰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 역시 전년 동월 대비 3.3% 오르며 예상치(3.1% 상승)를 뛰어넘었다. 로이터통신은 전통적으로 연초에 기업들이 제품·서비스 가격을 인상하는 요인이 일부 작용했다며, 특히 처방약 및 자동차 보험 비용이 크게 오른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트럼프 2기 첫 달부터 물가 지표가 높게 나온 것은 트럼프의 경제 정책, 특히 관세 정책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관세는 수입 물가를 올리며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이 경우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물가 관리를 위해 금리를 높게 유지해야 한다. 이는 고물가·고금리가 계속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빠르게' 물가를 낮추겠다던 트럼프의 공약과도 배치되는 것이다. 실제로 파월 연준의장은 전날 상원 청문회에 출석해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며 신중론을 펼쳤다.
그럼에도 트럼프는 이날 CPI 발표 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금리는 인하해야 한다"며 "이는 다가올 관세와 맞춰야 하는 것"이라고 모순된 주장을 펼쳤다. 또한 CPI 발표 후에는 "바이든 인플레이션이 상승했다"며 조 바이든 전 대통령에게 책임을 돌렸다.
문제는 앞으로다. 지난 4일 10%의 대중국 추가관세가 발효됐고, 트럼프가 예고한 25%의 대멕시코·캐나다 관세와 알루미늄·철강에 대한 25% 관세 및 상대국의 관세에 따라 부과하는 상호관세 등이 연달아 발효된다면 인플레이션이 걷잡을 수 없이 높아질 수 있다. 아울러 다른 국가들이 보복관세로 대응한다면 미국 경제에 추가적인 타격이 가해질 수 있다.
글로벌 금융서비스업체 RSM의 조셉 브루수엘라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무역 갈등이 유럽연합(EU)까지 확대되어 전면적인 무역전쟁으로 번진다면 미국의 경제 성장률은 2%까지 둔화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관세는 경제 성장과 고용을 위축시키고, 인플레이션을 가속화하며, 경상수지 적자를 확대시킬 것"이라며 "이 모두는 금리가 높은 상황에서 발생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물가 부담 속에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약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마이크 존슨 미 하원의장은 이날 상호 관세와 관련해 "백악관이 몇 가지 품목은 다르게 처리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자동차, 의약품 등이 관세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반면 트럼프가 고물가를 무릅쓰면서 관세를 강행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이달 초 트럼프는 관세 및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고통이 좀 있을 수 있다"며 관세를 우선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가 최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도 언제 고물가가 완화될지 묻는 질문에 "우리는 부자가 될 것"이라고 얼버무리며 답변한 것을 가리키며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트럼프는 인플레이션 억제에 대한 발언 수위를 누그러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