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사진로이터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2/20250212091833866600.jpg)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파월 의장은 11일(현지시간) 열린 연방 상원 청문회에서 "미국 경제가 전반적으로 강하고 고용 시장은 탄탄하다"며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완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웃돌고 있어 정책 기조를 조정하는 데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지난달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후 기자회견에서 밝힌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감세 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이 재점화될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신중론을 펼친 것이다. 취임 직후 "즉각적" 금리 인하를 요구할 것이라고 한 트럼프 대통령 역시 최근 들어서는 연준 행보에 동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파월 의장은 "정책 긴축도를 너무 빠르고 과하게 줄이면 인플레이션 둔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동시에 정책 긴축도를 너무 늦거나 적게 줄이면 경제활동과 고용이 위축될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인플레이션에 대해선 "고용시장은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고 인플레이션은 지난 2년 동안 상당히 둔화했지만 연준의 2% 장기 목표에 견줄 때 여전히 다소 높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연준이 통화정책 목표 달성 기준으로 삼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전년 동기 대비 2.6%를 기록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반영하는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작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2.8%로, 3개월 연속 같은 수준에 머물렀다. 실업률도 지난해 1월 3.7%에서 7월에 4.2%로 상승했지만 지난달에는 4%를 기록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의 윤곽이 명확히 드러날 때까지 금리를 계속 동결할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했다.
파월 의장은 "경제 상황이 변하는 데 따라 고용 극대화와 물가 안정이라는 두 가지 정책 목표를 최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정책 기조를 조정해 나갈 것"이라며 "만약 경제가 강하게 유지되고 인플레이션이 2%로 머문다면 현재 정책 기조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등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기존대로 "연준의 일이 아니다"라며 선을 그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