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해 10월 집권 후 주요 선거에서 줄줄이 패하면서 당 안팎의 퇴진 압박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오는 8일 이시바 정권의 운명이 기로에 설 전망이다.
자민당은 8일 조기 총재 선거 실시에 대한 당내 찬반 의사를 확인한다. 이시바 총리의 참의원(상원) 선거 패배 후 당내 ‘반 이시바’ 세력을 중심으로 퇴진 요구가 커지면서 자민당 규칙 6조4항(리콜 규정)에 따라 조기 총재 선거 가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자민당 의원 295명과 광역지자체 지부 대표자 47명 등 총 342명이 참여해 과반수인 172명 이상이 찬성하면 총재 선거를 앞당겨 치를 수 있다. 이같은 ‘총재 리콜’이 실제 진행되면 일본 역사상 처음있는 일이 된다.
이와 관련, 4일 마이니치신문은 앞으로 펼쳐질 정국 시나리오를 크게 3가지로 전망했다.
조기 총재 선거가 열릴 경우에 대비해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과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담당상 등 당내 유력 정치인들은 지지 세력과 회동하는 등 분주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마이니치는 또 조기 총재 선거가 확실시될 경우 이시바 총리가 선제적으로 퇴진을 표명해 중의원(하원) 해산에 나설 수도 있다고 짚었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조기 총재 선거가 실시되고 이시바 총리가 입후보해 승리하는 상황이다. 다만 총재 선거 입후보에 필요한 추천인 20명을 모을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고 마이니치는 전했다.
마지막 시나리오는 조기 총재 선거에 반대하는 의원과 지자체 대표가 절반을 넘겨 이시바 총리가 총리직을 유지하는 경우다.
이시바 총리는 2일 자민당 모리야마 히로시 간사장, 오노데라 이쓰노리 정무조사회장, 스즈키 슌이치 총무회장, 기하라 세이지 선거대책위원장 등 간부 4명이 참의원 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사퇴 의사를 밝혔음에도 총리직을 유지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거두지 않고 있다. 그는 같은 날 연립 여당인 공명당 사이토 데쓰오 대표를 만나 경제 정책 수립을 논의하는 등 일정을 변함 없이 소화했다.
마이니치는 이시바 정권이 유지되더라도 “모리야마 히로시 간사장 등 자민당 핵심 간부 4명이 사의를 표한 상황이어서 국정 운영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문은 “사의를 표현 간부들의 임기는 9월 말까지 유지될 전망이지만 총리의 구심력이 저하된 상황에서 후임 인사 단행이 쉽지 않고, 소수 여당 상황에서 야당과의 예산안 및 법안 협력도 계속해서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짚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