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인천 지역 최고 황사 농도는 544㎍/㎥(황사 주의보 농도 400㎍/㎥ )로 관측 이후 2009년 1천468㎍/㎥, 2010년 1천932㎍/㎥ 등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연수구 동춘동에서 전국 최고 농도의 황사가 관측되기도 했다.
이에따라 시는 황사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황사 예비 특보 등이 발령될 경우 별도의 상황실을 운영할 방침이다.
상황실에서는 황사 특보가 해제될 때까지 황사 측정망 가동상태를 점검하고 민.관 합동으로 물청소 실시, 환경 분야 피해 상황 등을 파악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황사에 중금속 등이 포함돼 있는지 등을 수시로 측정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인천기상대 등과 황사 조기경보체계를 구축, 보다 신속히 시민들에게 황사 정보를 전달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