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천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환자 중 6세 이하가 31~36%로 가장 많고 7~12세가 12~13%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연령별 연평균 증가율은 13~19세에서 8.40%로 가장 높은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80대 이상이 7.73%, 70대가 7.09%로 분석됐다. 반면 6세 이하, 7~12세 이하, 30대에서는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천식으로 인한 의료기관 이용자는 2005년 227만명에서 2009년 230만명으로 연평균 0.37%의 증가했고 총진료비는 2005년 2695억원에서 2009년 3326억원으로 연평균 5.40%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5년 동안에 월 평균 37만5000~39만2000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계절별로는 봄과 겨울철 환절기 환자수가 월평균 환자수 보다 높게 나타났다.
3~5월 봄철 환절기 환자수는 월 평균 38만5000~43만7000명으로 최근 2년(2008~2009년) 간 전체 월평균 환자수에 비해 9~11% 높은 수준을 보였다.
10~12월 겨울철 환절기 환자수의 경우 월 평균 43만9000명~47만9000명으로 역시 최근 2년 동안 전체 월평균 환자수에 비해 대략 15%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장관천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천식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 임신 시기의 환경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 이에 대한 예방 조치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정 알레르겐이 원인인 경우 이에 대한 회피가 천식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검사를 통해 적절한 예방 대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이어 “회피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나 다른 치료에 반응 하지 않는 경우 원인 물질을 이용한 면역 요법이나 탈감작 요법 등이 시도되고 있다”고 설명하고 “무분별한 정보와 잘못된 시도로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거나 영양결핍 등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