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3월 주택건설 인허가 물량은 전년 동월 대비 16.2% 증가한 3만8167가구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만2839가구로 같은 기간 19.3% 감소한 반면 지방은 2만5328가구로 49.5%나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1만9562가구, 아파트 외 1만8605가구였다. 이중 다세대주택(1만132가구)의 경우 2년전인 2009년 3월(881가구)보다는 12배 가량, 지난해보다는 1.5배가량 증가했다. 공급주체는 민간(3만6778가구)이 대부분이었다.
착공실적은 수도권 1만9899가구, 지방 2만3681가구 등 전국 4만3580가구로 1년전보다 47.4% 증가했다. 지방의 경우 같은 기간 90.5%나 늘어났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2만4647가구, 아파트 외 1만8933가구였으며, 주체별로는 공공 2351가구, 민간 4만1229가구 등이었다.
공동주택 분양실적도 전국 2만7387가구로 지난해보다 54.2%나 증가했다. 수도권(1만4390가구)은 같은 기간 88.3%, 지방(1만2997가구)은 28.4% 각각 늘었다.
유형별로는 분양이 1만8892가구로 가장 많았고, 임대(4999가구), 조합(3496가구) 등 순이었다. 민간 공급물량이 2만2495가구로 공공(4892가구)보다 약 4배 많았다.
이처럼 주택 건설과 착공 등의 증가는 최근 점점 위축되고 있는 거래시장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최근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6만7541가구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29.8%나 감소했다.
이는 거래시장의 경우 특별한 호재가 없는 상황에서 수요도 줄어들고 있지만, 주택 공급은 시장 활황세인 지방에서 최근 주택건설 등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전국 주택 준공실적은 지난해 3월보다 5.9% 감소한 2만3295가구를 기록했다. 지방(1만996가구)은 11.8% 증가했지만 수도권(1만2299가구)이 17.5%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에 수도권 주택 수급불균형이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의 경우 다세대·연립 준공물량을 포함해 112.5%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수급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