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인한 경제 혼란이 미국 내 여론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달 27일부터 엿새간 미국 유권자 15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했다. 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반대하는 응답자는 54%로, 지난 1월보다 증가했다. 당시에는 찬성(48%)이 반대(46%)를 앞섰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지지율이 42%로 낮아졌다.
응답자의 75%는 관세로 인해 생필품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냈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정책 전반에 대한 반대 의견도 52%로, 찬성(44%)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해 대선 직전과 비교해 여론이 반전된 결과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큰 변동이 없었다. 2024년 대선에서 트럼프에게 투표한 유권자의 93%는 여전히 그를 지지한다고 답했으며, 전체 유권자 기준 직무수행 지지율은 46%로 집권 초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민주당 여론조사 전문가 존 앤잴런은 “미국 유권자들은 대통령에게 일정 기간 유예를 주는 경향이 있다”며 “경제정책에 대한 불안감은 있지만 아직은 상황을 지켜보는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미국 내 정치 양극화도 여전했다. 현재 경제 상황이 악화됐다는 인식은 52%로, 1월(37%) 대비 크게 상승했으나, 41%는 여전히 미국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추진 방식에 대한 우려도 확인됐다. 응답자의 42%는 연방정부 축소에 찬성했지만, 37%는 예산 삭감에는 동의하면서도 트럼프식 접근에는 반대했다. 특히 정부 지출 축소로 인한 서비스 축소에 대해 54%가 우려를 나타냈다.
이민 정책에 대해선 불법체류자 구금·추방에 찬성하는 비율이 53%로 나타났으나, 모두 강제 추방해야 한다는 주장에는 동의하지 않는 의견도 많았다.
트럼프 행정부 고위 인사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JD 밴스 부통령에 대해선 50%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에 대해서는 53%가 부정적 시각을 보였다.
한편 야당인 민주당에 대한 부정 평가는 58%로, 여전히 공화당에 맞설 유력 대안으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