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6일 히로시마 원폭 투하 80년을 맞아 히로시마에서 개최된 기념식에서 “핵무기 없는 세계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주도하는 것은 유일한 전쟁 피폭국인 우리나라(일본)의 사명”이라고 밝혔다.
교도통신 등 일본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이날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에서 열린 ‘원폭 전몰자 위령식·평화기념식’에서 이같이 언급하며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초래된 참화를 절대로 반복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태평양전쟁 막바지였던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사흘 뒤인 8월 9일에는 규슈 나가사키에 각각 원자폭탄을 투하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 자리에서 ‘핵무기를 제조하지도, 보유하지도, 반입하지도 않는다’는 일본 정부의 비핵 3원칙을 견지하겠다는 뜻을 표명했지만, 핵무기금지조약(TPNW)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일본은 동맹국인 미국의 ‘핵우산’을 고려해 핵무기 사용·개발 등을 금지한 TPNW에는 가입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교도통신은 이시바 총리가 히로시마 피폭자 단체로부터 TPNW에 참여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원폭의 무서운 기억을 계승한다는 사명은 우리의 의무”라고만 언급하며 명확한 답을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시바 총리는 또 “핵 군축을 둘러싼 국제사회 분단은 심화하고 안전보장 환경은 한층 엄중해지고 있다”면서 핵확산금지조약(NPT) 체제에서 핵전쟁 없는 세계, 핵무기 없는 세계를 실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념식이 끝난 후 이시바 총리는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을 관람했다. 일본 언론들은 현직 총리가 히로시마 원폭 투하일인 8월 6일에 이곳을 찾은 것은 2022년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 이후 3년 만이라고 보도했다. 교도통신은 “핵무기 폐기를 위한 정권의 자세를 알리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해설했다.
한편 이시바 총리는 평화기념식 이후 기자회견에서 전후 80주년 메시지에 대해 “50년 담화, 60년 담화, 70년 담화를 고려해 생각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는 “귀중한 누적된 성과가 있다”면서 “현재 필요한 것은 다시는 전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체계”라고 강조했다. 80주년 메시지의 발표 시점에 대해선 “가장 적절한 시기를 신중히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미국의 핵우산에 의한 확장억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확장억제의 강화와 핵무기 없는 세계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모순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