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맛있는 테크스낵] 생성형 AI 앱 상반기 17억 다운로드…중국·인도 주도
                            
샘 올트먼 오픈AI CEO 
오픈AI의 챗GPT 국내 이용자가 2000만명을 돌파한 가운데, 아시아 지역이 글로벌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과 인도에서 생성형 AI 앱 다운로드가 급증하며 유럽과 북미 지역의 다운로드 수를 앞질렀다. 
1일 글로벌 시장 분석 업체 센서타워에 
                            952달전 
 ![[맛있는 테크스낵] 생성형 AI 앱 상반기 17억 다운로드…중국·인도 주도](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9/03/20250903173652762665_518_323.jpg)  
- 
                        
                        ![[맛있는 테크스낵] 여름휴가, 통신 3사 해외로밍 잘 쓰려면 가격·혜택 보세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7/21/20250721124030489792_518_323.png)  
- 
                        
                            [맛있는 테크스낵] 계정 공유 금지 시작할 OTT...싸게 보려면 '통신사 할인' 
                            
 
국내외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계가 계정 공유 금지 정책을 시행하면서 OTT를 좀 더 저렴하게 이용하려는 소비자를 잡기 위한 통신3사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16일 각 사에 따르면 디즈니플러스는 오는 24일부터, 티빙은 내달 1일부터 국내 이용자를 대상으로 계정 공유 금지 정책을 시행한다. 디즈니플러스의
                            04달전 
 ![[맛있는 테크스낵] 계정 공유 금지 시작할 OTT...싸게 보려면 통신사 할인](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6/16/20250616164410540144_518_323.jpg)  
- 
                        
                            [맛있는 테크스낵] AI 성능, 7개월마다 역량 2배 증가…성장 속도 가속화 
                            
인공지능(AI)이 처리할 수 있는 작업이 7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현재 성장 추세대로라면 오는 2029년에는 AI가 인간 전문가가 한 달(167시간) 걸리는 작업을 절반 이상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대두됐다. 
16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발간한 AI 브리프에 따르면, 미국 비영
                            56달전 
 ![[맛있는 테크스낵] AI 성능, 7개월마다 역량 2배 증가…성장 속도 가속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5/12/20250512152448769365_518_323.jpg)  
- 
                        
                        ![[맛있는 테크스낵] SKT 대리점 줄 서지 말고..."집에서 이심으로 교체하세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4/29/20250429152828319598_518_323.jpg)  
- 
                        
                            [맛있는 테크스낵] 미중 AI 패권 경쟁, 특허시장에서도 격화
                            
미국과 중국이 전 세계 인공지능(AI) 시장을 이끄는 가운데 AI 기술 특허 시장에서도 양국 간 패권 싸움이 격화하는 모습이다. 
지난 1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발표한 '특허지표를 활용한 주요국 AI 기술 경쟁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이 전세계 피인용 상위 10% AI 특허 합계 점유
                            07달전 
 ![[맛있는 테크스낵] 미중 AI 패권 경쟁, 특허시장에서도 격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4/04/20250404153436172363_518_323.jpg)  
- 
                        
                            [맛있는 테크스낵] 네이버·구글 대신...AI가 키우는 검색엔진 시장 
                            
국내외 인공지능(AI) 스타트업들이 자체 AI 서비스에 웹 서치 기능을 탑재하면서 검색엔진 시장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전 세계 검색시장을 지배하는 구글은 자체 검색엔진에 'AI 브리프'를 탑재했으며 네이버도 'AI 브리핑'을 도입한다. 
'AI 브리핑'은 검색 결과에 AI가 요약한
                            07달전 
 ![[맛있는 테크스낵] 네이버·구글 대신...AI가 키우는 검색엔진 시장](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3/25/20250325005841640422_518_323.jpg)  
- 
                        
                        ![[맛있는 테크스낵] 오픈AI도 딥리서치 이용자 확대...AI 업계, 보고서 경쟁 격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26/20250226153711729088_518_323.jpg)  
- 
                        
                            [맛있는 테크스낵] 머스크 야심작 '그록3' 사용해보니…MBTI F형 AI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그록3'를 공개하면서 이 인공지능(AI)의 최종 목표는 "사람과 이야기하듯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록3를 직접 사용해 보니 머스크 CEO의 말이 반쯤은 성공한 듯하다. GPT 4o가 성격유형검사(MBTI)의 T(이성적 사고)를 장착한 인공지능(AI)
                            08달전 
 ![[맛있는 테크스낵] 머스크 야심작 그록3 사용해보니…MBTI F형 AI](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20/20250220170153183107_518_323.jpg)  
- 
                        
                            [맛있는 테크스낵] 中 딥시크 파장 어디까지...각국 AI 데이터센터 설립 박차
                            
한국, 미국, 중국 등이 생성형AI 패권을 가지기 위해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모습을 챗GPT가 표현한 이미지다.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각국이 데이터센터 설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주도권을 미국과 중국에 아예 내줄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여기에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딥시크R1&
                            19달전 
 ![[맛있는 테크스낵] 中 딥시크 파장 어디까지...각국 AI 데이터센터 설립 박차](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0/20250210153549395539_518_323.jpg)  
- 
                        
                            [맛있는 테크스낵] 틱톡커 中판 인스타로, 틱톡은 머스크 품으로?
                            
오는 19일(현지시간) 미국에서 틱톡(TikTok)의 운명이 결정된다. 조만간 미국 내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대법원 판결이 날 것으로 보여, 일명 '틱톡 난민'으로 불리는 사용자(틱톡커)들이 자국사회관계망서비스(SNS) 앱인 인스타그램, 메타 등이 아닌 중국 SNS 앱 '샤오홍슈(Xiaohongshu, 미국명 RedNo
                            010달전 
 ![[맛있는 테크스낵] 틱톡커 中판 인스타로, 틱톡은 머스크 품으로?](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1/15/20250115150951655180_518_32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