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동안 경제 민심을 확인한 더불어민주당이 본격적으로 민생 현안에 집중한다. 특히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으로 어려워진 경제 상황에 맞춰 분배보다 성장 가치를 기조로 내세우고 있다. 정쟁에 피로감을 느끼고 정책에 민감한 중도층을 확보하기 위한 '외연 확장' 행보로 풀이된다.
김윤덕 민주당 사무총장은 2일 오전 국회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민주당은 당면한 민생 현안을 해결하는 데 전력을 다하겠다"면서 "2월부터 모든 국회의원들과 지역위원장들은 민생 현장을 중심으로 활동하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사의를 표한 주철현 최고위원 후임으로는 '경제 전문가'로 꼽히는 홍성국 전 의원을 임명하겠다고 밝혔다.
탄핵 정국 이후 언론 노출을 최소화해 온 이재명 대표도 직접 움직인다. 우선 3일 반도체특별법의 주요 쟁점인 '주 52시간 근무 예외 조항'을 두고 정책 토론회를 직접 주재한다. 이후 5일 민주연구원 주최의 '트럼프 2.0시대, 핵심 수출기업의 고민을 듣는다' 주제로 종합토론을 주재한다.
당 차원에서는 4일 한국인공지능협회와 함께 '딥시크 쇼크' 대책 긴급 간담회를 개최해 인공지능(AI) 분야 발전 방안, 지식재산권 보호 제도 정비 등을 논의한다.
민주당의 이 같은 행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중도층의 표심을 공략하기 위한 포석이란 해석이 나온다. 당 지지율이 박스권에 갇힌 상황인 만큼 정쟁보다는 정책에 집중하며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정당이라는 신뢰를 얻기 위한 전략이라는 것이다.
특히 이번 연휴에 "경제가 너무 힘들다"는 민심을 주로 청취하면서 위기감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한 의원은 "지금 정치 상황을 빨리 끝내주고 경제를 챙겨 달라는 아우성이 많았다"고 말했다.
다만 실제 정책 실현으로 이어질 만한 결과가 나올지는 미지수다. 반도체특별법의 경우 산업 종사자의 주 52시간 적용 예외를 두고 당내에서 부정적 기류가 강하기 때문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용우 의원은 이날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반도체 산업 부진 원인을 노동 시간의 양에서 찾는 것 자체가 잘못된 진단일 수 있다"며 "현행법에 탄력적 노동 시간 제도가 있는 만큼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을 두지 않아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