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23일(현지시간) 상호 관세와 관련해 각국의 비관세 장벽 등에 대한 협상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베센트 장관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미국이 상호 관세 부과 전 검토할 요인들을 거론한 뒤 "만약 그들이 이를 수정한다면 관세는 내려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만약 그들(다른 나라)이 불공정 거래 관행을 지속하고자 한다면 그들이 협상하려고 할 때까지 관세는 올라갈 것"이라며 "그것(상호 관세)은 (향후) 진행 경과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검토해야 할 요인으로는 각국의 대미 관세와 비관세 장벽, 통화 정책, 불공정한 재정적 지원과 유럽연합(EU)과 같은 미국 빅테크에 대한 소송 등을 꼽았다.
또한 베센트 장관은 "상호 관세의 성격은 유럽연합(EU)이나 다른 나라를 상대로 그들이 하는 것처럼 우리도 똑같이 하는 매칭(matching)을 시작하는 것"이라며 "여기에 (비관세 장벽 등) 다른 요인을 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통령이 최대 50%까지 관세 부과를 할 수 있도록 한 1930년 관세법을 적용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4월 1일까지 기다린 뒤에 어떻게 되는지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누구보다도 레버리지를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저는 대통령에 앞서서 나갈 생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아울러 베센트 장관은 "나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국민을 위한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4월 1일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가 만든 보고서를 검토하고 다음 날부터 실제 관세를 도입할 예정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 상호 관세를 부과키로 하고 관세 부과에 부가가치세 등 각종 비관세 장벽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에는 메릴랜드주 옥슨힐에서 열린 CPAC 연례 행사 연설에서 '관세'(tariff)라는 단어를 15차례 외치며 "관세는 강력한 외교 수단"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