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A가 본 아시아

전체 뉴스

  • [NNA] 타이완 흑당 버블 밀크티 쩐주단, 일본에 상륙
    [NNA] 타이완 흑당 버블 밀크티 쩐주단, 일본에 상륙 타이완에 42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흑당 버블 밀크티 전문점 쩐주단(珍煮丹)의 일본 1호점이 14일, 일본 도쿄 시부야(渋谷)구에서 오픈한다. 타이완 산 흑당 등 자연 식재를 고집한 상품이 대표적이다. 일본 내 다른 도시로 매장을 확장하는 것도 검토중이라고 한다. 시부야 역 근처 상업시설 'MAGNET by SHIBUYA109'의 7층 푸드코트에 입점했다. 영업 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11시까지. 대표 메뉴인 '흑당 버블 밀크티'(M사이즈: 650 엔)를 비롯해 홋카이도( 2019-06-13 16:53
  • [NNA] 시암상업銀과 줄리어스베어 합작사, 태국 부유층 자산관리 나서
    [NNA] 시암상업銀과 줄리어스베어 합작사, 태국 부유층 자산관리 나서 태국 2위 은행인 시암상업은행(SCB)과 스위스 대형은행 줄리어스베어의 합작사 SCB 줄리어스베어가 12일, 태국의 부유층을 대상으로 자산 관리 서비스에 나선다고 밝혔다. 1억 바트(약 3억 4700만 엔) 이상의 자산 소유자가 서비스 대상이다. 치라라완 최고경영책임자(CEO)는 "태국의 부유층의 자산관리 시장은 과거 수년간 계속 성장하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있을 것으로 보이 2019-06-13 16:22
  • [NNA] 필리핀 BOI 투자 허가액, 1~5월 40% 증가
    [NNA] 필리핀 BOI 투자 허가액, 1~5월 40% 증가 필리핀 무역산업부가 11일, 올 1~5월 기간 투자위원회(BOI)의 투자 허가액이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2906억 페소(약 6046억 엔)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외자 기업의 투자계획이 성장을 견인했다. 투자처별로 보면, 외국 기업이 9.7배 늘어난 670억 페소, 국내 기업이 11% 증가한 2235억 페소였다. 국가별로는 싱가포르가 354억 페소로 최대를 기록했으며, 네덜란드(91억 페소), 태국(85억 페소), 일본(55억 페소), 미국(24억 페소)이 그 뒤를 이었다. 분야별로는 전력이 74% 증가한 1854억 페소로 가장 많았고 2019-06-13 15:40
  • [NNA] 日 기프티, 말레이시아 도넛 체인 e기프트 판매
    [NNA] 日 기프티, 말레이시아 도넛 체인 e기프트 판매 상품권 티켓(e기프트) 판매 사업을 벌이고 있는 일본의 기프티가 11일, 말레이시아 도넛 체인 '빅 애플 도넛 & 커피'의 e기프트를 판매한다고 밝혔다. e기프트는 상품과 교환할 수 있는 상품권으로, 이를 휴대전화를 통해 보내는 서비스이다. 이번에 판매되는 권종은 5 링깃(약 130 엔), 10 링깃, 20 링깃 등 3종이며, 유효 기간은 90일이다. 구매자는 빅 애플의 홈페이지를 통해 e기프트 쿠폰을 구입한 후, 선물하고 싶은 상대에게 휴대폰 문자 메 2019-06-13 15:07
  • [NNA] 캄보디아 재무경제부, 카지노 영업허가 163건
    [NNA] 캄보디아 재무경제부, 카지노 영업허가 163건 캄보디아 재무경제부에 따르면 올 1~4월 기간 동안 캄보디아 정부는 13건의 카지노 영업을 허가했다. 이로 인해 누적 카지노 허가 건수는 163건으로 증가했으며, 이 중 56%에 해당하는 91건이 중국인들이 많이 찾는 남부 항만도시 시아누크빌에서 이루어졌다. 크메르 타임즈(인터넷 판)가 12일 이같이 전했다. 이에 대해 재무경제부 재정산업국의 고위관계자는 실제 영업활동을 하고 있는 카지노 시설은 51건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나머지는 건설 중이거나 영업 정지 상태라고 설명했다. 카지노 시설이 증가 2019-06-13 13:51
  • [NNA] 日 혼다, 印에 신 배기가스 규제 대응 스쿠터 출시
    [NNA] 日 혼다, 印에 신 배기가스 규제 대응 스쿠터 출시 일본의 차량 제조사 혼다가 12일, 인도에 내년 4월부터 도입되는 새로운 배기가스 규제 '바라트 스테이지(Bharat Stage, 이하 BS)6' 기준에 맞는 스쿠터 '액티바 125'를 발표했다. 인도 현지에서 소비가 활발해지는 종교 의식 기간에 맞춰 올 9월말까지 발매에 나설 계획이다. BS6은 내년부터 유럽에 도입되는 유로5에 해당되며, 이번에 발표된 스쿠터는 혼다가 처음으로 BS6의 기준을 충족 2019-06-13 13:11
  • [NNA] 日 후지필름, 체키 신모델 출시...음성 녹음도 가능
    [NNA] 日 후지필름, 체키 신모델 출시...음성 녹음도 가능 일본의 후지 필름이 12일, 즉석 카메라 'instax(인스탁스) 체키' 시리즈 중 최소・최경량 신모델 '인스탁스 미니 리플레이(LiPlay)'를 출시했다. 카드 크기로 필름을 최소화했으며, 음성을 녹음할 수 있는 사운드 기능을 새롭게 탑재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14일, 일본에서는 21일부터 발매한다. 인도네시아 판매가격은 244만 9000 루피아(약 1만 8600 엔). 3가지 색상이 2019-06-13 12:49
  • [NNA] 베가맥스 도큐의 The VIEW, 상량식 개최
    [NNA] 베가맥스 도큐의 'The VIEW', 상량식 개최 일본의 철도 운영사 도쿄 큐우코우 덴데츠(東京急行電鉄, 이하 도큐)의 베트남 합작사 베가맥스 도큐가 10일, 베트남 남부 빈즈엉 성에 건설중인 대형 아파트 '미도리 파크 The VIEW(더 뷰)'의 상량식을 개최했다. 무사고, 무재해 공사가 진행중이다. 더 뷰는 이 회사가 베트남에 이미 준공한 '소라 가덴즈'에 이은 두 번째 프로젝트. 지난해 3월에 착공해 9월에 본공사에 들어갔다. 시공은 현지 건설사 2019-06-13 12:35
  • [NNA] 마카오 카지노 SJM, 일반 고객 시장 강화 나서
    [NNA] 마카오 카지노 SJM, 일반 고객 시장 강화 나서 마카오의 카지노 대기업 SJM(澳門博彩)의 데이지 호(何超鳳) 회장이 11일, "안정적인 추이를 보이고 있는 일반 고객을 타깃으로 한 매스 마켓을 강화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부유층을 대상으로 한 VIP 시장에 대해서는 "미중 무역 분쟁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 분야는 어디나 마찬가지"라는 인식을 보였다. 12일자 홍콩경제일보 등이 이같이 전했다. SJM의 올 1분기 카지노 수입은 회복 기조를 보이고 있으며, 매스 마켓은 4~5월에도 성장하고 있다고 한다. 미중 무역 분쟁에 대한 우 2019-06-13 11:41
  • [NNA] 日 이데미츠, 中 후이저우에 윤활류 공장 건설 나서...연간 12만㎘
    [NNA] 日 이데미츠, 中 후이저우에 윤활류 공장 건설 나서...연간 12만㎘ 일본의 에너지 기업 이데미츠 코우산(出光興産)이 12일, 중국 광둥성 후이저우시(広東省恵州市)에 연간 12만㎘를 생산하는 윤활류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혔다. 이로서 이 회사는 중국 내에 2곳의 윤활류 공장을 가동하게 된다. 최근 증가되고 있는 중국 내 고급 윤활류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이다. 지난달 하순 기공식을 가졌으며, 완공은 2020년에 이루어질 전망이다. 부지면적은 10만㎡로, 엔진, 변속기 등 자동차 및 공업용 윤활류를 생산한다. 이데미츠에 의하면 중국의 윤활류 시장은 2019-06-13 11:09
  • [NNA] 日 오오츠카 테크노, 베트남에 의료용 수액 포장재 공장 건립 나서
    [NNA] 日 오오츠카 테크노, 베트남에 의료용 수액 포장재 공장 건립 나서 일본의 의료용 플라스틱 제품 제조사 오오츠카 테크노가 10일, 베트남 동나이 성에 의료용 포장재 생산 공장 건립에 나선다고 밝혔다. 의료용 포장재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아시아 지역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 회사의 해외 생산 거점은 중국 쓰촨(四川)성과 장쑤성(江蘇)성에 이어 세 번째. 베트남에 자회사 '오오츠카 테크노 베트남'을 7일자로 설립했다. 자본금은 1500만 달러(약 16억 3000만 엔). 신 공장 가동시기는 2021년 10월이 목표다. 종업원 100명을 고용할 예정이다. 오오츠카 테크노가 소속 2019-06-12 21:59
  • [NNA] 배차 서비스 그랩, 시티은행과 공동으로 신용카드 발행
    [NNA] 배차 서비스 그랩, 시티은행과 공동으로 신용카드 발행 싱가포르의 차량호출·공유서비스 업체 그랩(GRAB)이 11일, 미 금융사 시티은행과 공동으로 '시티 그랩' 브랜드 신용카드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그랩이 자사 브랜드로 신용카드를 발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선 필리핀을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순차적으로 발행해 나갈 방침이다. 그랩과 시티은행은 2016년부터 제휴관계를 맺고 있으며, 시티은행이 발행한 신용카드 소지자에 대해서 운임 할인 등의 혜택을 2019-06-12 20:20
  • [NNA] 말레이시아 클린룸 장갑업체 CTB, 수출 확대 나서
    [NNA] 말레이시아 클린룸 장갑업체 CTB, 수출 확대 나서 클린룸에서 사용되는 장갑을 제조・판매하는 말레이시아의 CE 테크놀로지(CTB)가 생산 증강에 나서면서, 향후 2년 내에 새로운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11일자 뉴 스트레이츠 타임즈가 이같이 전했다. CTB는 전자, 생명과학 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클린룸 장갑을 생산하는 기업. 제품의 95% 이상을 다른 동남아 국가와 유럽, 미국, 중국, 일본에 수출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1억 9000만장 이상을 수출했다. 테오 스위산 사장 겸 최고경영책임자(CEO)가 최근 이 신문에 밝힌 바에 따르면, 현재 생산능력은 월 2700 2019-06-12 19:52
  • [NNA] 미얀마 정부, 마이크로 파이낸스 이자율 상한 인하
    [NNA] 미얀마 정부, 마이크로 파이낸스 이자율 상한 인하 미얀마 정부는 마이크로 파이낸스(소액 금융)법에서 규정한 대출 이자 상한을 기존 연 30%에서 28%로 낮췄다. 정부는 개정된 이자율 적용을 각 마이크로 파이낸스 기관에 5일 통보했으나, 신규 금리는 그에 앞선 1일부터 적용된다. 또한 금번 금리 개정과 함께 융자처로부터 담보의 일부로 받는 강제예금의 금리를 최저 15%에서 14%로 낮췄다. 자발적인 임의예금 금리는 기존대로 최저 10%. 미얀마 마이크로 파이낸스 협회(MMFA)는 이에 대해, 마이크로 파이낸스 기관은 개정 전 이자율에 기반한 사업계획을 이미 2019-06-12 19:11
  • [NNA] 日 리넷, 캄보디아 에린 리싱 매수 중앙은행 승인취득
    [NNA] 日 리넷, 캄보디아 에린 리싱 매수 중앙은행 승인취득 일본의 중고 서적 판매 및 소형 가전 재활용 업체인 리넷 재팬 그룹이 7일, 이전에 밝힌 캄보디아 리스 회사 에린 리싱의 인수와 관련해 캄보디아 중앙은행으로부터 승인이 내려졌다고 밝혔다. 리넷 재팬은 지난해 8월, 인터넷 증권 업체 SBI홀딩스와 공동으로 에린 리싱의 지분을 인수하는데 3사가 합의했으며, 이에 대해 중앙은행에 승인을 신청했다고 밝힌 바 있다. 출자비율은 리넷 재팬이 51%, SBI 홀딩스가 49%. 8월까지 에린 리싱의 개인주주 3명으로부터 주식을 전량 매수할 계획이다. 아울러 8월중에 자 2019-06-12 18:12
  • [NNA] 日경제산업부, 인도에 일본식 제조학교 인증
    [NNA] 日경제산업부, 인도에 일본식 제조학교 인증 일본경제산업부가 10일, 건설기기 제조사인 코베르코 건기 등 일본계 기업 7개사와 스즈키가 각각 인도에 설치한 인재 육성 기관을 '일본식 제조 학교(JIM)'로 정식 인증했다고 밝혔다. 코베르코 건기를 포함한 일본계 7개사는 남부 안드라프라데시 주의 공업단지 스리시티에 올 4월 '스리시티 재패니즈 컴퍼니즈 JIM'을 개교했다. 학년당 20명, 1년 코스로 운영된 2019-06-12 17:36
  • [NNA] 인니 자카르타 LRT 2기 공사, 13km 연장
    [NNA] 인니 자카르타 LRT 2기 공사, 13km 연장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의 경전철(LRT) 건설 공사를 담당하는 자카르타 자산관리공사(작프로)가 11일, LRT 제2기 공사로 총 13km를 연장한다고 밝혔다. 또한 자카르타 LRT는 13개 역을 증설해 제1기의 6개 역과 합쳐 총 19개의 역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자카르타 LRT의 제1기 공사는 북부 자카르타 끌라빠가딩의 차량기지 역에서 동부 자카르타의 벨로드롬 역까지 5.8k 2019-06-12 17:13
  • [NNA] 알리바바, 수 주내 홍콩 증시 상장?
    [NNA] 알리바바, 수 주내 홍콩 증시 상장?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 그룹이 수 주내에 홍콩거래소(HKEX)에 상장을 신청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 이어 홍콩이 알리바바의 두 번째 상장 무대가 될 전망이다. 11일자 홍콩경제일보 등이 전했다. 관계자에 의하면 알리바바는 이미 중국 국영 투자사 중국국제금융(CICC)과 스위스의 그레디 스위스를 주간사로 선정했으며, 제3의 투자은행 2019-06-12 1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