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日 GDP, 전년 대비 0.1% 성장…4년 연속 플러스 성장 지난해 일본 국내총생산(GDP)이 4년 연속 플러스 성장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내각부가 이날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12월 분기 성장률은 물가변동 영향을 제외한 실질 기준 전 분기 대비 0.7% 증가했다. 이는 로이터 예상치인 0.3% 증가를 크게 웃돈 수준이다. 특히 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민간 소비가 전기 대비 0.1% 증가하며 예상(0.3% 감소)을 깨고 증가세를 나타낸 것이 크게 작용했다. 소비에 이어 민간 수요의 두 번째 축인 설비투자는 0.5% 증가했고, 수출은 1.1% 증가했다. 또 2025-02-17 09:32
-
트럼프, 잇따른 관세 유예에 '협상용' 의구심 고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발표한 관세 조치 시행을 대부분 유예하고 있는 가운데 그의 관세 정책이 그의 주장과는 달리 협상 목적이 크다는 의구심이 높아지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대(對)멕시코·캐나다 25% 관세, 대중국 10% 추가관세를 발표할 당시 이것이 협상용이냐는 기자 질문에 "아니다"며 "순전히 경제적 조치"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취임 후 현재까지 멕시코, 캐나다, 중국 등에 대한 관세를 비롯해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상호 관세, 수 2025-02-16 15:56
-
트럼프, '동맹' 캐나다·프랑스 '디지털세' 정조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발표한 상호관세 방침이 캐나다와 프랑스의 '디지털세'를 직접 겨냥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방침 발표 후 백악관은 팩트시트(설명자료)에서 "미국엔 세법이 없고 오직 미국만이 미국 기업에 세금을 부과할 수 있어야 하지만, 교역 상대국들은 디지털 서비스세라는 명목으로 미국 기업들에 비용을 부과하고 있다"고 밝혔다. 디지털세란 물리적 고정사업장 없이 국경을 초월해 사업하는 정보통신(IT) 기업에 물리는 세금을 의미한다. 2025-02-15 13:48
-
상호관세에 '부가가치세'까지..트럼프 '관세전쟁' 확대하나 '상호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가가치세(VAT·이하 부가세)를 정조준해 "관세보다 더 징벌적인 세금"이라고 평가하면서, 관세전쟁이 부가세로까지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1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부가세가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 부과되는 흔한 세금인데도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불공정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상호 관세 부과 결정이 담긴 대통령 각서에 서명하면서 검토 요인으로 2025-02-14 13:40
-
[종합] 트럼프, 4월초 '비관세 장벽 반영' 상호관세 시행…'무역흑자 8위' 韓도 영향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각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두루 고려해 이르면 4월초 맞춤형 상호관세를 세계 각국에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한국도 '상호관세' 부과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가별로 맞춤형 상호관세 부과..."모두에게 공정할 것"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1시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관세 부과 결정이 담긴 대통령 각서에 서명하면서 "나는 '공정성'을 위해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2025-02-14 08:53
-
[뉴욕증시 마감] 상호관세 협상 여지에 상승...테슬라 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계획이 발표됐지만 협상의 여지가 있다는 기대가 나오면서 뉴욕증시 3대 주가 지수가 동반 강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42.87포인트(0.77%) 오른 4만4711.4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63.10포인트(1.04%) 오른 6115.0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95.69포인트(1.50%) 오른 1만9945.64에 각각 문을 닫았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 관세 부과 결정이 담 2025-02-14 08:16
-
임기 초부터 인플레 위기 처한 '트럼프노믹스' 출범 후 한달도 채 안 된 트럼프 2기 정부가 인플레이션으로 경제 정책에 위기를 맞고 있다. 그럼에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관세 부과와 금리 인하를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경제 전망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미국 노동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 상승했다. 이는 로이터 예상치(2.9% 상승)를 넘어선 동시에 작년 6월 이후 7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선 것이다. 특히 조류 독감 여파에 계란 가격이 53%나 급등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 가격 변동성이 큰 2025-02-13 15:30
-
美백악관 "13일 모디 총리 방문 전에 상호관세 발표"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3일(현지시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방문하기 전에 '상호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상호 관세 일정 발표와 관련해 "모디 총리가 내일(13일) (백악관을) 방문하기 전에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모디 총리는 이날 미국에 도착해 13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백악관에서 열린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장 취임 선서식에서 '상호 관세 2025-02-13 1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