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일) 7.1072위안...가치 0.06% 하락 1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42위안 올린 7.1072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6%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129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340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061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5.31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9-01 10:21
-
광물 틀어쥔 中, 베트남 텅스텐 광산에도 '눈독'..."서방 우려" 세계 텅스텐 시장을 장악한 중국이 베트남 텅스텐 광산까지 손에 넣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미국 등 서방 각국이 우려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베트남 북부 타이응우옌성의 누이파오 광산이 매물로 나오자 중국 기업 2곳이 외국 기업들에 접근해 광산 인수 입찰 대리인 역할을 요청했다. 이 광산은 베트남 대기업 마산그룹 자회사인 마산하이테크머티리얼스가 소유하고 있는데, 최근 광산 매각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움직임이 포착된 이 2025-08-28 18:15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8일) 7.1063위안...가치 0.06% 상승 28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45위안 내린 7.1063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6%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2915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394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155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5.14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28 10:1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7일) 7.1108위안...가치 0.11% 상승 27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80위안 내린 7.110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11%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2924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390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082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5.32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27 10:19
-
中상무부장 만난 특사단 "한중 FTA 2단계 협상 타결, 희토류 패스트트랙 요청" 이재명 정부 중국 특사단이 방중 이틀째인 25일 오후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장관급)을 만나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2단계 협상의 조속한 타결과 희토류 등 핵심광물 공급망 활성화를 요청했다. 박병석 전 국회의장을 단장으로 하는 특사단은 이날 오후 베이징시 상무부 청사를 방문해 왕 부장과 만나 한중 경제협력 관계를 논의하면서 한국의 관심사를 전달했다. 박병석 특사는 "수교 33년간 양국이 이룬 성장의 토대는 경제무역 관계의 발전"이었다며 "미국발 통상전쟁이 글로벌 통상질서를 재편하 2025-08-25 18:19
-
中 부동산 경기부양 기대감...상하이도 외곽 주택 무제한 구매 허용 중국 경제도시 상하이도 외지인의 외곽 지역 주택 구입 제한을 사실상 철회하기로 하며 부동산 경기 살리기에 적극 나섰다. 25일 중국 국영중앙TV(CCTV) 보도에 따르면 상하이시 주택도시건설관리위원회, 주택관리국, 재정국 등 6개 부처는 오는 26일부터 상하이시 후커우(호적)를 보유한 가구와 사회보험 및 개인 소득세를 1년 이상 납부하는 등 자격 요건을 갖춘 외지인 가구에 대해 상하이 외곽 지역의 신규 혹은 중고 주택을 개수 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기존엔 상하이 주택은 2025-08-25 16:11
-
美, TSMC 지분 확보 추진설에…대만 "정부 심의 거쳐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TSMC 지분 인수 방안을 검토하자 대만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1일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궈즈후이 대만 경제부장(장관)은 전날 입법원(국회) 경제위원회 출석을 앞두고 열린 기자회견에서 대만 민간기업인 TSMC에 상황을 파악할 것이라고 밝혔다. 궈 부장은 해당 소식과 파급 효과에 대한 확인과 전문가 평가가 필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투자를 통해 TSMC 주주가 되려면 반드시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2025-08-21 15:22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0일) 7.1384위안...가치 0.04% 하락 20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25위안 올린 7.1384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4%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243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473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509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4.33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20 10:23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9일) 7.1359위안...가치 0.05% 하락 19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37위안 올린 7.1359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5%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427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391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620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79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19 10:24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8일) 7.1322위안...가치 0.07% 상승 18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49위안 내린 7.1322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7%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686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563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922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87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18 10:1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4일) 7.1337위안...가치 0.2% 상승 14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13위안 내린 7.1337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2%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647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602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7074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2.73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14 10:17
-
中 '400조 빚폭탄' 부동산 재벌 헝다의 몰락...파산 이어 상폐 行 중국 부동산 재벌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오는 22일 거래를 마지막으로 홍콩 주식시장에서 상장폐지된다. 한때 매출 기준 중국 부동산 기업 1위였던 헝다는 400조원이라는 천문학적 부채로 유동성 위기에 몰린 끝에 파산했으며, 결국 상폐 수순을 밟게 된 것이다. 13일 중국 제일재경일보 등 중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헝다는 전날 저녁 홍콩거래소로부터 상폐 결정을 받았다고 공시를 내고 오는 25일부터 홍콩증시에서 상폐돼 거래가 중단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월 홍콩법원에서 청산 명령이 떨어진 지 2025-08-13 12:4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3일) 7.1350위안...가치 0.1% 상승 13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68위안 내린 7.1350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1%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464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406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521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31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13 10:22
-
미·중 관세휴전 90일 추가 연장....미·중 정상회담 '청신호' 미국과 중국이 양국 간 '관세 전쟁의 휴전'을 90일 연장하기로 하면서 연내 미·중 정상회담 개최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양국 협상단은 오는 10월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후로 이뤄질 가능성이 큰 미·중 정상회담까지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치열한 협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미·중 정상회담 앞둔 분위기 조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월 미·중이 합의한 '관세 휴전' 마지막 날인 11일(현지시간) 90일 더 휴전을 연장하는 내용 2025-08-12 15:30
-
미중 관세 휴전에도 中가전 수출 급감...철강 관세에 '발목' 중국의 가전제품 수출이 둔화하고 있다. 미중 관세 휴전과는 별개로 철강·알루미늄 관세 등 품목별 관세가 부과되면서 대미(對美) 가전제품 수출이 줄어든 영향이다. 미중 양국이 관세 휴전을 90일 추가 연장하기로 했지만, 가전제품을 비롯한 중국의 대미 수출은 감소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은 “세계 경제 침체와 지속된 무역 전쟁으로 중국 가전제품 수출이 압박을 받고 있다”고 세관 자료를 인용해 11일 보도했다. 중국기계전기제품수출입상회(CCCME)가 중국 해관총서( 2025-08-12 15:18
-
가격경쟁 단속에...中 7월 전기차 판매 5% 감소 중국의 7월 신에너지차 판매량이 전달 대비 또 감소세를 보였다. 당국의 가격 출혈 경쟁 단속에 업체들이 할인 폭을 줄이면서 전기차 구매 열풍이 수그러들었다는 분석이다. 12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에 따르면 7월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126만2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7.4% 늘었다. 하지만 전월 대비로는 5% 감소했다. 지난 4월 전월 대비 0.9% 감소세를 보인 이후 석달 만이다. 이는 지난 5월말 중국 정부가 전기차 업계의 가격 출혈 경쟁에 제동을 걸자, 업체들이 할인 폭을 줄인 가운데 나온 움 2025-08-12 10:31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2일) 7.1418위안...가치 0.02% 하락 12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13위안 올린 7.141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2%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142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341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176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92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12 10:19
-
日에 이어 대만도 美상호관세 해석 논란…"관세율 20%가 아니라 기존세율+20%" 일본에 이어 대만에서도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방식에 대한 해석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11일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대만 행정원 경제무역협상판공실(OTN)은 지난 8일 저녁, 7일 발효된 상호관세 20%가 기존 최혜국대우(MFN) 세율에 더해지는 구조라고 공식 확인했다. 예컨대 대만산 공구기계의 경우 MFN 세율 4.7%에 20%를 합산해 실제 세율이 24.7%에 달한다. 경제부 무역서는 이미 지난 4월 4일 이 같은 부과 방식을 설명했다고 밝혔고 양전니 OTN 총담판대표 역시 4월 16일과 이달 6 2025-08-11 15:20